전남 무안군은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을 위한 대화의 장에 나서달라는 전남도와 광주시의 호소를 수용해야 한다. 사진은 광주 군공항, /남도일보 자료사진

전남 무안군은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을 위한 대화의 장에 나서달라는 전남도와 광주시의 호소를 수용해야 한다.

광주 통합공항 이전사업은 지난 6월 25일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을 계기로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됐다. 이 대통령이 이날 김산 무안군수와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등 이해 당사자들의 입장을 들은 뒤 공항 통합 이전을 정부가 주도적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 산하에 국방부, 국토부, 기재부,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 등이 참여하는 6자 TF 구성도 지시했다. 타운홀 미팅 당시 논의는 무안 이전을 전제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삼척동자도 알고 있다. 하지만 김 군수가 뜬금없이 이전 후보지 공모 등을 건의하면서 6자 TF는 1차 실무회의조차 못하고 있다. 여기에다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무안국제공항 폐쇄가 장기화되자 지난 18일 광주공항 국제선 부활 시민회의까지 출범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 18일 열린 전남도의회 도정질문에서 김 지사와 정길수 의원(무안1)이 설전을 벌였다. 전남도는 다음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6자 TF가 곧 출범하는 만큼 정부와 무안군, 전남도, 광주시가 대화를 통해 해법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무안군이 대화의 장에 참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강 시장도 지난 16일 "무안군의 TF 참여는 사실상 통합공항 무안 이전에 대한 동의"라면서 대통령실이 TF 정식회의를 열어 최소한의 중간 결론을 내놓길 요청했다.

무안군이 움직이지 않으면 6자 TF도 움직일 수 없다. 군은 무안군민과 도민의 목소리를 최우선에 두고 정부, 광주시와 끝까지 협의하겠다는 전남도의 약속을 믿고 대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