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원주민대책위 등 3개 단체 국회 소통관서 기자회견
"소음 피해와 무관한 일부 지역민들 더욱 더 반대는 무안군이 선동"
"여론조사 찬성 과반…‘이전’ 적극행동"..."李대통령·與, 로드맵 공개" 요구

광주 민간·군공항 무안 통합이전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TF가 석 달이 넘도록 첫 회의조차 열지 못하자 무안 원주민들이 직접 나서 무안군이 6자 TF에 조속히 참여해달라고 촉구했다.
특히 김산 무안 군수를 향해 "무안 민·군공항 이전 문제를 정쟁의 도구로 소비하지 말고 주민 선동을 멈추라"며 직격했다.
무안 민·군공항 원주민대책위원회, 사단법인 무안국제공항발전군민협의회, 광주 군공항 이전 추진대책위원회는 2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안 민·군공항 이전 문제는 더 이상 지연되거나 정쟁의 도구로 소비돼서는 안 된다"며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 6자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25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을 통해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을 위해 대통령실 차원의 TF를 구성하고 관련 기관과 지자체가 참여하는 6자 협의회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대통령실은 곧바로 광주 군 공항 이전 추진을 위한 TF를 출범하고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국방부,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 등 정부·지자체가 참여하는 6자 협의체 구성을 위한 사전 작업에 돌입했다. 하지만 무안군이 군공항 이전 후보지 공모 등을 주장하고 나서면서 3개월이 지나도록 TF 회의는 개최되지 못하면서 답보를 거듭하고 있다.
대책위는 "무안군수는 대안이나 실질적 대책 없이 주민들을 선동하며 반대 서명에만 몰두한다는 풍문이 돌고 있다"며 "이는 군민의 불안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무책임한 행태로, 무안군의 미래를 가로막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구체적으로 ▲무안군의 6자 TF팀 조속 참여 ▲광주시의 무안군 지원 약속 성실 이행 ▲전남도의 무안군이 제시한 3가지 조건 이행 보장 ▲이 대통령의 이전 사업 국가 주도 추진 적극 지원 등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무안군은 TF팀에 조속히 참여해 주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해 책임 있는 협상을 통해 실질적 이익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이재명 대통령께서 지난 6월 광주 타운홀 미팅에서 약속하신 이전 사업을 국가 주도로 조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을 촉구한다"고 했다.
또 "무안공항의 미래는 정치적 구호로 지켜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책임 있는 대화와 실질적 협력으로만 열릴 수 있다"며 "무안군이 더 이상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군민 생존과 전남 발전을 위한 대의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승욱 무안국제공항발전군민협의회 대표도 "민·군 통합공항으로 발전시켜 국내 3대 거점공항으로 건설한다는 국가 계획이 20년 가까이 답보 상태에 있다"며 "7조 원 이상이라는 예산을 쏟아부은 무안국제공항에 대해 주민과의 대화에서 대통령은 분명히 약속하셨다. 정부가 즉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무안군수는 ‘전투 비행장’이라는 섬뜩한 용어로 공포를 조장하고 반대를 지속하고 있다"며 "내년 지방선거에서 3선하기 위한 것인가. 무안군민은 어리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정작 군 공항 소음 피해와는 무관한 일부 지역분들이 더욱 더 반대하고 있다"면서 "이 모두가 무안군이 국민의 혈세를 쏟아부어 선동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무안군민 과반 이상이 민간·군공항 통합이전에 찬성한다는 본보 여론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후속조치도 촉구했다.
남도일보가 지난 4~5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 광주 민·군공항 무안 이전 정책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항 이전 찬성 53.3%, 반대 38.4%로 나왔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는 군공항 여론조사 사상 처음으로 찬성이 과반을 넘어선 결과다.
정 대표는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군공항 이전 찬성이 과반을 넘었다"며 "정부는 군공항 건설이 본 궤도에 오르면 소음 저감과 적절한 보상, 후속 대책을 마련해 주민 대표들을 참여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공항 주변 인프라를 이용해서 목포·신안·영암·함평 등 주변 시군에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며 "낙후됐던 호남 발전에 견인차가 될 것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제부터라도 우리 무안 군민들이 나서서 군공항 이전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것"이라며 "거듭 더불어민주당과 대통령실에 대해 군 공항 무안 이전을 위한 중앙정부의 구속력 있는 로드맵을 공개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임소연 기자 lsy@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