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후보 등록이 13일 마감되면 광주·전남지역에서 대거 무투표 당선인이 나올 전망이다. 무투표 당선이 확정된 후보는 치열한 선거운동을 하지 않아 반기겠지만 지역구 유권자들은 참정권을 빼앗겨 심각한 문제란 지적이다.
후보등록 첫날인 12일 현재 광주·전남 기초단체장 무투표 당선 예상지역은 광산구청장, 해남·화순·보성군수 등 4곳이다. 이들 지역에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등록하지 않을 경우 민주당 박병규·명현관·구복규·김철우 후보의 ‘무혈입성’이 예상된다. 2010년 6월 2일 치러진 5회 지방선거 김일태 영암군수 이후 12년 만의 무투표 당선이다.
광주·전남 광역의원도 30여 곳에서 무투표 당선인이 나올 것으로 점쳐진다. 아직 변수가 남아 있으나 20개 선거구인 광주는 동구1·2, 서구1, 남구1·2·3, 북구1·3·5, 광산3·5 등 10여 곳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55개 선거구인 전남의 경우 목포 3곳, 여수 6곳, 순천 5곳, 화순·무안 각 2곳, 나주·광양·담양·장성·고흥·보성·완도·해남·영암·영광 각 1곳 등 많으면 절반가량에서 무투표 당선인이 탄생할 수도 있다. 광주 20개 기초의원 선거구와 전남 81개 기초의원 선거구에서도 민주당 후보 가운데 상당수 무투표 당선인이 나올 것으로 보여 ‘민주당 심장부’ 광주·전남의 정치 현주소를 대변해 주고 있다.
이처럼 광주·전남에서 무투표 당선인이 대거 배출될 경우 특정 정당 독식구도를 고착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지방정부와 의회가 모두 민주당으로 구성되면 견제와 감시 기능이 약화된다. 유권자는 헌법에 보장된 참정권마저 박탈당해 풀뿌리 민주주의 정착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런 폐단을 줄여야 ‘민주 성지’ 광주·전남이 우뚝 설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