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정치개혁만이 民心 회복
민주 뼈 깎는 쇄신 필요하지만
전대 앞두고 계파 갈등 수면 위
존재감 없는 국회의원 교체론도
“근본적 체질개선으로 거듭나야”

6·1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더불어민주당의 완패로 끝난 가운데 이제 정가는 2년 후로 다가온 제22대 총선으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소야대로 뒤바뀐 국회 구도 속에서 여야가 다음 총선에서 세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뼈를 깎는 쇄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선거 참패에 대한 수습책과 당 쇄신 방향에 따라 현역 국회의원들의 운명이 달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이번 지방선거 공천에서 파열음이 나오고 무소속 후보가 당선된 지역의 국회의원들은 자칫 다음 총선에서 살아남기가 힘겨울 수 있다는 목소리도 높다.
▶선거 내리 3연패 민주당
이번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전국 17개 광역단체장 중 호남과 제주, 그리고 막판 역전한 경기를 포함해 5곳에서 승리했다. 국민의힘이 서울과 인천을 회복하고 충청권까지 휩쓸어 12곳에서 승리했다. 이는 민주당이 14곳을 석권했던 직전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와 정반대되는 결과다. 민주당은 지난해 서울·부산시장선거와 지난 3월 대선, 이번 지방선거까지 세 번을 내리 패했다.
지난 대선에서 0.73%p의 근소한 격차로 패배한 후 “졌지만 잘 싸웠다”고 여기며 반성과 성찰, 쇄신을 게을리한 대가를 혹독하게 치렀다. 3·9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와 이재명 후보의 득표 차이는 24만표에 불과했지만 이번 지선에서 민주당 17개 광역단체 후보가 얻은 총 득표수는 976만표로, 여당보다 223만표나 뒤졌다. 지방선거에서 역전하면 정국의 주도권을 다시 가져올 수 있다고 여겼지만, 이는 민심을 오독한 것이었다. 핵심 지지층마저 민주당에 싸늘한 시선을 보인 총체적 위기 상황인데도 계파 간에 ‘네 탓’ 공방을 벌이며 내홍에 휩싸이고 있다. 차기 당권을 놓고 친이재명(친명)계와 친문재인(친문)계 간 계파갈등 으로 극심한 내홍에 휩싸이며 진통을 겪고 있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정당 내 계파경쟁은 어디나 있지만 배가 가라앉는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에서는 일단 합심해 살길을 찾는 게 우선이다”며 “민주당이 이대로 가면 2년 후 총선에서도 희망이 없다는 점을 자각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광주·전남 공천잡음 후폭풍 확산
민주당의 텃밭이라는 광주·전남의 상황도 별로 다르지 않다. 대선 패배에도 환골탈태 없이 기득권에 골몰한 민주당의 안하무인에 시·도민들은 투표로 회초리를 들었다. 전국 최저인 광주 투표율은 민주당에 대한 실망과 역대급 공천 잡음, 무투표 당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최고를 기록한 전남은 많은 지역에서 무소속 후보들이 선전한 때문이다. 공천심사 과정에서 컷오프 된 유력 후보들이 ‘낙하산 공천’ ‘사심공천’이라고 경선과정을 문제삼으며 잇따라 탈당한 후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됐다. 실제 광주·전남 27개 시장·군수·구청장 가운데 목포와 순천, 광양, 영광, 진도, 무안, 강진 등 7곳에서 무소속 후보가 승리했다.
지역사회에서는 공천 잡음과 무소속 후보 당선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위원장인 현역 국회의원 책임론 등 후폭풍이 확산되고 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는 국회의원들의 이름은 이미 정가에 퍼져 있다. 가장 많이 회자되는 국회의원은 김승남 전남도당위원장과 소병철 의원이다. 또 목포 김원이, 광양 서동용, 무안 서삼석, 진도 윤재갑 의원 등도 자유롭지 못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자기성찰·개혁만이 정치불신 해소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을 중심으로 향후 시민협의체 활동을 통해 2024년 총선까지 이어가는 국회의원 퇴출 운동으로 전개하겠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단순히 이번 지방선거 결과만 따지기 보다는 의정활동에 대한 근본적인 평가를 통해 상당수 국회의원을 물갈이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체 배경으로는 가장 큰 원인이 존재감 부재다. 또 정치적 감각과 지역사회 공헌도, 전문성과 지역 조직 및 주민들과의 소통 부재 등도 떠오르고 있다.
이에 이들 현역 국회의원들이 지역민과 지역발전을 위해 지자체와 어떻게 호흡을 맞춰 나갈 것인지 등을 심도있게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지역 유권자들에게 정치적 불신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각 정당의 경선 결과가 후보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제도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김덕모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장(호남대 교수)은 “이번 지선을 통해 광주·전남 시도민은 민주당에 처절한 반성과 강력한 개혁을 재차 요구하고 있다”며 “민주당이 대오각성해 독주와 오만, 내로남불의 정치를 청산하고 뼈를 깎는 쇄신을 해야 등돌린 민심을 되돌릴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김경태 기자 kkt@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