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지방공휴일이 지정된 지 3년이 지났으나 ‘공무원 휴무날’에 그쳐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광주지역 공직사회를 제외하곤 민간기업 등엔 ‘그림의 떡’이기 때문이다.
광주시 5·18민주화운동 기념일 지방공휴일 지정 조례는 2020년 5월 8일 제정됐다. 5·18기념식과 각종 행사 참여를 통해 5·18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자는 취지에서였다.
광주시는 올해도 지난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본청과 5개 자치구, 교육청 및 각급 학교, 시 출자·출연기관, 지방공사·공단 등 261곳에 휴무를 원칙으로 하고 최소 인력으로 부서별 20% 이상, 민원 대응 부서는 50% 이상 출근하도록 했다. 5개 자치구의 경우 각 자치구 조례에 따라 전체 공무원 70%는 쉬고 나머지 직원은 출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공무원만 쉬는 날이란 곱지 않은 시선과 시민 불편을 의식해서다. 오는 18일 근무자에게는 5월 안에 대체휴가가 주어질 예정이다.
광주시는 시민 모두가 함께 5·18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역사적 의미를 계승하기 위해 5·18지방공휴일에 지역 공공기관, 학교, 민간기관·단체 등이 휴무 및 휴업에 적극 참여할 것을 권고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광주상공회의소를 통해 민간 사업장에도 휴업을 요청했다.
하지만 공공기관, 학교, 민간기업 등에 대해서는 휴무와 휴업 참여를 권고할 뿐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대책이나 인센티브가 마련되지 않아 대다수 시민들에겐 5·18지방공휴일은 평일과 마찬가지다. 지역사회가 적극 동참해 사적지 방문, 각종 행사 참여 등을 통해 한마음 한뜻으로 5·18 의미를 되새기자는 지방공휴일 도입 취지를 전혀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제라도 5·18지방공휴일 지정 의미를 되살릴 수 있도록 제도 보완 등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