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지난 10일 광주 군·민간공항 이전 추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만났으나 ‘속 빈 강정’에 그쳐 ‘맹탕 회동’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취임 당시 광주·전남이 한 뿌리임을 외쳤던 강 시장과 김 지사는 지난해 7월 28일 전남도청에서 열린 광주·전남 상생발전위원회 이후 무려 10개월 만에 이날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공식적으로 만났다.
시·도지사는 이날 3가지 원칙으로 군공항 이전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현장의 의견을 청취해 이전지역에 대한 지원사업을 확정해 함께 발표한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소음 문제, 이주 대책, 지역발전 대책 등을 협의해 유치 대상 예상 지역에 설명회 및 공청회 등을 함께 적극 추진한다. 민간공항 문제는 별도 논의한다 등이다.
2시간 비공개 회동 이후 내놓은 발표문이 원론 수준에 그쳐 군·민간공항 이전 추진 의지를 의심케 했다. 그동안 미묘한 신경전을 벌였던 시·도지사가 이번 회동에서 ‘통 큰 양보와 배려’를 통한 ‘담대한 합의’를 할 것으로 기대하진 않았다. 하지만 이전 추진 방향이나 로드맵, 이전 대상 지역 인센티브 등과 관련한 내용을 전혀 담아내지 못해 실속이 없었다는 지적이다.
더군다나 가장 민감한 사안 중 하나인 ‘군·민간공항 동시 이전’에 대한 추진 방향도 제시하지 않은 채 ‘민간공항 문제 별도 논의’로 남겨놔 군공항 이전사업의 큰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와 관련. 민선 7기인 2018년 8월 ‘군공항 이전사업과 별도로 민간공항 무안 이전·통합’ 협약 당사자인 김 지사는 당시 협약 파기를 공식화해 논란이 예상된다. 강 시장과 김 지사의 이번 ‘공항 논의 회동’은 당초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