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규(광주서부경찰서 농성파출소장)

해를 거듭할수록 우리 사회는 이른바 저출산, 인구 고령화 현상이 날로 심화되어 가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 수는 전체의 20%(1천24만4천550명)로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고령 인구의 비율을 살펴 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지난 2008년 10%대 였던 것이 2024년 말에는 두배 이상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했고 성별로는 남자 17.83%, 여자 22.15%로 남자보다는 여자의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UN) 등 국제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 고령화 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를 뛰어 넘어 지난 해 말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는 분석이다.
이런 추이를 감안해 볼 때 20년 후 우리 사회는 지금과는 매우 다른 양상으로 유소년은 줄고 고령 인구는 3명 중 1명 꼴로 크게 늘어 65세 이상 노인사회가 되고 저출산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노인 인구의 비중은 급속히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우리나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 중 유럽 선진국인 다른 가입국들에 비해 고령화 현상이 상대적으로 매우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작 또다른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7%에서 14%에 도달하는 기간 다시 14%에서 20%에 도달하는 기간이 각각 18년과 7년으로 이웃나라 일본과 미국 등 11개국 중 가장 빨라지고 있고 고령화 문제가 공론화 된지 20년이 지났지만 실제 국민들의 체감지수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가장 큰 문제는 인구 고령화 현상과 맞물려 고령자들의 인지능력 저하 및 돌발 상황의 신속한 대처능력 미흡으로 사고 위험 우려가 상존해 있는데도 노인문제에 대한 지나친 무관심과 냉대는 여전히 상존해 있다는 사실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갈수록 심화되어가는 인구 고령화 현상에 대비 고령 인구의 체계적인 관리보호를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노인 안전망 구축을 하루빨리 서둘러야 하리라 본다.
노인문제! "머지않아 우리 모두에게 다가 올 미래의 자화상"이라는 사실을 단 한시라도 잊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 간절하다.
※외부 칼럼·기고·독자투고 내용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