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공항 이전 시기 특정 등 촉구

광주 군 공항 이전을 반대해 왔던 전남 무안지역 시민단체가 대통령실과 지자체간 4자 사전협의에 대해 환영 의사를 나타냈다.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범대위)는 24일 입장문을 내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주관으로 광주·전남·무안 3개 지자체장이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관련 4자 사전협의를 진행해 정부 중재안에 대해 큰 틀에서 공감했다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범대위는 "이번 협의가 실질적인 진전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안군이 제시해 온 3대 요구안이 어떻게 충족이 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6자 TF에서 충분히 논의되고 검증되는 자리가 돼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범대위가 내놓은 6자 TF 논의사항은 ▲광주 민간 공항의 무안 이전 시기 특정 ▲광주시가 약속한 1조 원 이상 지원책의 실현 가능한 재원 확보 방안 ▲무안군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국가의 획기적인 인센티브다.
특히 올해 국토교통부가 광주 민간 공항 이전을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상에 ‘무안국제공항 재개항’시점이라고 명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범대위는 또한 "군 공항 이전의 핵심인 전투기 소음과 관련해 소음완충지역을 최대한 확보하는 등 대책 마련도 필수 의제로 논의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위 의견이 충실히 반영돼 모든 절차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되길 기대한다"며 "6자 TF 진행상황에 맞춰 무안군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군민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지속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자체 간 첨예한 의견 대립으로 답보 상태에 머물렀던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문제는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이 정부 주도 하에 6자 TF 구성을 지시하면서 추진에 동력을 얻었다.
이후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남도일보가 지난 9월 공항 이전과 관련해 실시한 1차 여론조사에서는 무안군민의 53.3%가 공항 이전에 찬성, 처음으로 찬성이 반대 여론을 앞지르는 결과를 낳았다. 10월에 진행된 2차 여론조사에서도 55.0%가 공항 이전에 찬성하며 같은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박정석 기자 pjs@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