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손 잡았다"
지난 19일 오전 대통령실 주관 ‘대통령실-지자체 4자 사전협의에 참석한 김영록 전남지사(왼쪽부터), 강기정 광주시장, 김산 무안군수,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손을 맞잡은 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 민간·군공항의 전남 무안 통합 이전사업이 큰 틀에서 합의되면서 속도를 낼 전망이다. 빠르면 연말 안으로 최종 가닥이 잡힐 경우 시·도민들의 오랜 숙원이 풀릴 것으로 기대된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주선으로 지난 19일 서울 용산의 한 식당에서 만나 공항 이전사업과 관련해 의견 접근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감대를 이룬 주요 사안은 광주 민간공항 선(先)이전을 조건으로 한 군공항 이전, 호남고속철도 2단계 개통(2027년 예상)에 맞춘 민간공항 이전, 광주시가 무안군에 지원하기로 했던 1조원 중 부족분 3천억원의 정부사업 보조, 무안지역 첨단 국가산단·기업 유치 등에 대한 신속 지원 등으로 알려졌다. 무안군의 요구사항이 거의 수용됐다.

이번 ‘4자 회동’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25일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에서 지시한 대통령실 주관의 군공항 이전 6자 협의체(TF) 가동을 위한 사전 단계다. 강 시장과 김 지사, 김 군수의 공감대 형성으로 국방부와 국토부, 기재부 등이 포함된 6자 TF가 다음달 본격 가동될 경우 공항 이전사업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무안군도 부군수를 단장으로 한 광주 민·군공항 이전 대응 TF팀을 더욱 활성화하며, 군민의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하고 반영하는 데 총력을 쏟을 방침이다.

공항 이전 큰 틀 합의에는 이 대통령의 타운홀 미팅 이후 무안군민들의 이전 찬성 의견이 사상 첫 과반을 넘는다는 남도일보의 두 차례 여론조사 결과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김 군수와의 단독 인터뷰를 통해 ‘6자 TF 무조건 참여’를 이끌어 낸 점도 힘을 보탰다는 평가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주선으로 지난 19일 서울 용산의 한 식당에서 만나 공항 이전사업과 관련해 의견 접근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광주공항 모습. /남도일보 자료사진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