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6월 3일 치러질 전남도지사 선거가 벌써부터 과열 조짐이다. ‘동부 소외론’를 놓고 유력 주자인 현역 국회의원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어서다. 전남도민을 편 가르기하면서 소지역이기주의에 편승한 선거 프레임은 선거 이후에도 심각한 후유증을 낳기 때문에 전남도지사 선거의 ‘경계 1호’ 대상이다.
발단은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의원(여수갑)의 발언에서 비롯됐다. 주 의원은 지난 19일 순천에서 열린 언론인들과의 간담회에서 "서부권 중심으로 변해가는 전남의 경제 지도를 균형발전으로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주 의원은 "지난 8년간 전남도정의 주요 사업과 예산 배분이 서부권에 집중되면서 재래산업 중심의 동부권은 오히려 위기만 깊어졌다"고 주장했다.
주 의원의 언급에 대해 같은 당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이 즉각 반박했다. 신 의원은 다음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내년 선거가 178만 도민의 통합잔치가 돼야 하는데, 우려했던 갈라치기 조짐이 시작됐다" 고 맞받아쳤다. 신 의원은 "‘동부권 소외론’을 꺼내며 전남을 둘로 나누고 있다"며 "이것이 과연 도지사가 되겠다는 사람이 할 일(말)인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그러자 주 의원은 곧장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남 동부권 소외는 정치 구호가 아니라 ‘현실’"이라며 재차 반박했다. 신 의원도 또다시 ‘깔끔하게 사과하고 전남 대통합의 길로 나오십시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공방을 이어갔다.
내년 전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는 두 의원의 반박과 재반박은 전남의 현실을 직시한 것보다는 ‘선거용 포석’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각자 동부권 표심잡기와 통합 이미지 부각이란 속내가 깔려 있는 것이다.
민선 1기 출범이후 전남도지사의 경우 순천 태생인 전 허경만 지사를 제외하면 나머지 4명은 비(非) 동부권 출신이다. 그렇다고 이들이 출생지역 때문에 도지사에 당선된 것은 아니다. 혹시라도 동서 편 가르기를 통해 도지사직을 노리는 주자가 있다면 민주당 후보 경선부터 배제시켜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