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라남도지사,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산 무안군수,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왼쪽부터)이 지난 19일 서울에서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이전 현안 논의를 위한 간담회를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남도 제공

광주 군공항의 무안 이전을 반대해온 범군민대책위원회(범대위)가 최근 대통령실과 광주시·전남도·무안군 수장의 4자 협의를 환영했다. 이로써 광주 민간·군공항 무안 통합이전을 논의할 대통령실 주관의 6자 협의체(TF) 가동에도 탄력이 불을 전망이다.

범대위는 지난 24일 입장문을 내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주관으로 광주·전남·무안 3개 지자체장이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 관련 4자 사전협의를 진행해 정부 중재안에 대해 큰 틀에서 공감했다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범대위는 이날 6자 TF 논의사항으로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 이전 시기 특정, 광주시가 약속한 1조원 이상 지원책의 실현 가능한 재원 확보 방안, 무안군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국가의 획기적인 인센티브를 제안했다. 올해 국토교통부가 광주 민간공항 이전을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상에 ‘무안국제공항 재개항’ 시점이라고 명문화할 것도 촉구했다.

범대위의 이번 환영문 발표는 지난 6월 25일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 이후 무안군민의 공항 이전 찬성 여론이 과반을 넘어선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다음 달 본격 가동 예정인 6자 TF에서 무안군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사격’에 나선 것으로도 분석된다.

다만, 현행 기부대양여 방식으론 군공항 이전사업에 걸림돌이 많아 정부가 국가 예산을 투입해 직접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군공항 이전에 총력을 쏟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구을)과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구갑)이 공동으로 지난 24일 ‘정부주도 군공항 이전 특별법 개정’ 긴급토론회를 개최한 이유다. 특별법 개정이 신속히 이뤄지길 기대한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을)은 지난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과 공동으로 ‘정부주도 군 공항 이전을 위한 특별법 개정’ 긴급토론회를 개최했다. 서울/임소연 기자 lsy@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