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의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재추진을 놓고 충돌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광주시의원들이 극명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시민단체까지 가세하면서 지역의 하나된 목소리가 나오지 않고 있다.
강수훈 광주시의원은 지난 17일 시의회 본회의 5분 발언에서 광주공항 국제선 재개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의원은 지난해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무안공항이 폐쇄됐으나 국토교통부가 어떠한 로드맵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항공사고가 조사에만 4~5년 이상 걸리는 만큼 호남권의 장기 고립을 막기 위해선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취항이 가장 현실적 대안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강 의원의 발언은 박수기 광주시의원이 지난 11일 행정감사에서 ‘국제선 임시취항 재건의는 진정성과 실효성을 모두 의심케 하는 보여주기 행정’이라는 비판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당시 박 의원은 "국토부가 이미 불허한 사안을 근본적 여건 변화 없이 반복 제기하는 것은 행정의 신뢰를 흔드는 보여주기 행정"이라며 "무안공항 사고와 군공항 이전 논의가 얽힌 상황에서 임시취항 주장은 전남도·무안군과의 신뢰를 해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광주시가 지난 4월에 이어 다시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신청서를 제출한데 대한 반박이었다.
이후 시민단체인 ‘광주공항 국제선 부활 시민회의’가 박 의원을 공개 비판하는 등 다자간 갈등 양상으로 비화되고 있다.
광주공항 국제선 재추진은 지역민의 불편 가중과 지역 여행업계의 피해 급증에서 비롯됐다. 하지만 한 번 무산된 임시취항이 다시 승인될 것이란 보장은 없다. 그렇다고 지역사회가 충돌하는 모양새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지역의 공통된 목소리가 절실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