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체계적 복지 시스템 구축”
尹 “진료비 부담 낮출 것”
安 “직영 보호센터 확충”

여야 대권주자들이 반려동물 친화 정책을 잇따라 내놓으며 1천500만 반려인들의 표심을 얻으려는 구애 경쟁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펫심’에 한 표를 호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친근한 이미지를 만드는 데도 톡톡히 역할을 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선 중앙선대위 산하 동물복지위원회는 최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출범식을 열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는 대독 축사를 통해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 민법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주문하면서 “사람과 동물이 함께하는 생명 존중 사회, 반려동물 문화 선진국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일 페이스북을 통해 “경기도에서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이재명 정부에서는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동물 복지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겠다”면서 “반려동물은 더 이상 ‘또 하나의 가족’도 아니고, 어엿한 가족이다”고 말했다.
그는 ▲반려동물 놀이터-반려견 음수대-배변봉투함 설치 ▲여주 반려동물 테마파크 건립 ▲경기도 반려동물 입양센터 설립 ▲화성 고양이 입양센터 건립 등 경기지사 시절 반려동물 정책 추진 성과도 소개했다.
이어 “반려동물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을 전국적으로 더욱 늘려나가고, 반려동물 진료비 표준 수가제, 펫 푸드 생산·공급과정의 관리 체계화 등 정책적 대안도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20일 반려동물 진료비 표준수가제 도입 및 소득공제, 개물림 사고 예방조치 강화 등의 반려동물 공약을 내놓았다.
윤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마음을 나누는 가족, 반려동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동물복지’ 공약을 발표했다.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을 대폭 낮추기 위해 표준수가제를 도입하고 소득공제 혜택을 부여한다. 이른바 ‘강아지 공장’ 등을 막기 위해 반려동물 보호 체계도 정비한다. 동물판매업자에 대한 시설기준, 위생기준 등을 강화하고, 면허제도 도입을 통해 동물권을 보호할 계획이다. 불법 강아지 생산업자와 유통업소 정보 공개 및 단속과 처벌도 강화된다.
이밖에 펫푸드 생산·유통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지원해 펫푸드의 안전성과 품질을 높이고, 반려동물 장례식장, 추모공원, 장묘시설 설치도 지원한다. 반려동물 용품·미용·카페·호텔·훈련·장례 등 관련 서비스 산업 성장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도 개선한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지난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동물의 존재와 권리를 인정하고 그에 걸맞는 사회적 책무를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동물 학대·유기 방지 정책을 제시했다.
안 후보는 “개 식용에 대해서는 이미 2017년에 반대의 입장을 밝혔다”며 “개농장, 번식장 등의 폐쇄를 위해 농장주, 정부, 동물보호단체 합의로 중장기 로드맵을 만들어 점진적,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개농장, 번식장 사업주의 업종전환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지방자치단체 직영 동물보호센터를 확충하고 보호 수준을 높이겠다”며 “유기 유실되거나 학대받던 동물들이 구조된 후 고통 속에 방치되지 않고 보다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지난 9일 공공 성격의 반려동물 건강보험을 마련하고, 대규모 번식장도 단계적으로 폐쇄하는 것을 골자로한 ‘반려동물 전생애복지’ 공약을 발표했다.
심 후보는 “반려동물이 일생 동안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를 바란다”며 “반려동물이 행복한 세상은 반려인 뿐만 아니라 비반려인도 행복할 것”이라며 ▲반려동물 건강보험 도입 ▲반려동물 장례시설 확충 ▲전문 브리더 시스템 도입 및 대규모 번식장 폐쇄 ▲반려동물 이력제 도입 ▲반려동물 훈련사 국가자격제 등을 제안했다.
서울/임소연 기자 lsy@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