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파동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혀
시민단체, 민주 자충수에 유권자 외면
6·1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남 동부권 선거 결과를 두고 지역민들은 당연한 결과라는 평가를 내놨다.
이번 선거에서 순천시장과 광양시장은 무소속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이와 관련 2일 지역민과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민주당의 공천 파동으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며 “유권자들의 준엄한 심판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두 지역 선거의 공통점은 민주당 공천에 대한 반발이 심했다는데 있다.
순천시장의 경우 전략 선거구로 지정되는 등의 우여곡절 끝에 후보가 선정됐다.
여기에 지역위원장인 소병철 의원의 보좌관 2명이 공천되는 등 무원칙한 공천 파동으로 인한 갈등, 고소·고발 등 진흙탕 싸움이 그 어느 때보다 컸다.
이로 인해 ‘누더기 공천’, ‘국회의원 입맛에 맞는 사천’, ‘폭압 정치’라는 비난이 들끓었다.
시민단체인 순천시행의정모니터연대도 당시 논평을 내어 “개혁과 혁신은 없었고 기준은 모호했고 경선 참여자들은 의혹과 분노로 들끓고 있다”며 소 의원의 사과를 요구했었다.
광양시장 선거도 민주당 경선이 끝난 뒤 당원명부 유출 의혹이 제기되는 등 공천에 대한 반발이 이어졌다.
무더기 무투표 당선도 기름을 부었다. 광역의원만 보더라도 순천시 5명, 여수시 4명 등 광양시, 고흥군, 보성군 선거구에서 12명이 무투표 당선이 확정됐다.
이는 결국 후보들을 국민이 뽑는 게 아니라 공산당처럼 민주당 임명직이 되고 있다는 비난이 나왔다.
순천시장 선거는 막바지 ‘전 시민 100만원 지급’이라는 급조된 공약에 국회의원까지 가세하면서 ‘시민을 바보로 알고 있냐’는 부정적인 여론까지 불러일으켰다.
대선을 통해 유권자의 냉엄한 심판을 받고 ‘클린 경선’, ‘개혁 경선’을 하겠다고 약속하고선 민주당 공천만 받으면 선거에 이길 수 있다는 오판이 필패를 불러왔다는 지적이다.
지역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일단은 민주당 전남도당 공천 관리 역량이 안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번 선거를 앞두고 공천 심사 위원으로 현역 국회의원과 관계자들이 다수 들어갔는데, 이는 줄 세우기, 구태정치의 전형이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순천시장 선거는 소병철 대 반 소병철 세력과의 싸움이 됐다”며 “민주당이 경선을 시작했을 때는 정치세력을 교체하겠다는 의도가 있었던 것 같은데 원칙이 무너지면서 심판론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호남에서 민주당이 아닌 대안정당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순천에서 교직생활을 하다 퇴임한 한 시민은 “만약 경쟁 정당이 있었다면 민주당이 이렇게 공천을 했겠냐”며 “호남의 절대 기득권인 민주당이 다시 자멸하지 않으려면 공천권 포기 등 특단의 쇄신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한편, 소병철 의원은 이날 성명을 내어 “더 반성하고 성찰하겠다”며 “이번 선거결과를 되새기고 시민들의 의견을 경청해, 지역위원회의 쇄신을 위한 방안도 적극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동부취재본부/장봉현 기자 coolman@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