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오월 정신, 국민과 함께’라는 주제로 열린다. 올해 기념식을 맞아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이하 헌법 수록) 천명으로 국민 통합의 주춧돌을 놔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다.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지역민의 염원이자 국민 70%가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헌법 수록 요구를 수용해야 5·18에 대한 정부와 여당의 진정성이 의심받지 않는다. 더군다나 ‘불모지’ 광주·전남 민심이 바뀔 수 있어 이번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대반전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헌법 수록은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지난해 취임 이후 곧바로 제42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오월 정신은 보편적 가치의 회복이고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유민주주의를 피로써 지켜낸 오월의 정신은 국민 통합의 주춧돌”이라고도 했다. 헌법 수록 여부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으나 기대감을 부풀게 했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 헌법 수록은 한 걸음을 내딛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헌법 수록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흐름이다. 5·18기념재단이 여론조사기관인 ㈜서던포스트알앤씨에 의뢰해 조사한 올해 ‘5·18 국민인식조사’에서 70.8%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필요하지 않다” 13.4%에 비해 무려 5.3배 높았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지난 9일 내년 총선과 동시에 헌법 수록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을 국회와 정부에 제안했다.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도 17일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에 헌법 수록과 관련해 로드맵을 밝힐 것을 촉구하는 등 헌법 수록 요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번엔 반드시 정부와 여권의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천명으로 법적 절차가 착수돼야 국민 통합과 온전한 오월 정신 계승 등을 완성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