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지사가 15일 무안군이 광주 군공항과 민간공항(국내선) 이전을 대승적으로 수용하길 바란다고 호소해 이전에 강력 반대해온 군의 입장 변화가 주목된다. 김 지사는 이날 발표한 ‘무안국제공항 활성화와 서남권 발전을 위해 도민께 드리는 담화문’을 통해 “무안군민의 희생만을 강요하지 않겠다”며 “이전지역 피해를 충분히 상쇄할 획기적 지원대책 마련에 온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무안국제공항이 활성화돼야 관광객이 늘고 기업 투자도 확대될 수 있다면서 무안군의 통 큰 결단을 간청했다.
지난 10일 강기정 광주시장과 만나 민간공항 문제를 별도 논의하기로 합의한 김 지사의 이날 담화는 도내 이전 후보지에 대한 사전 정지작업을 하지 않으면 군공항 이전사업이 꼬일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다. 여기에다 군공항 이전과 함께 침체된 무안국제공항에 국내선을 통합·이전시켜 활성화해야 한다는 절박함도 깔려 있다. 최근 6년간 무안공항 누적적자가 930억 원에 이른 것도 국제선과 국내선의 연계가 안 돼 공항 이용에 제약이 많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무안시 승격을 추진하는 지방자치법 개정도 전남도가 나서 적극 지원하겠다는 김 지사의 발언에서 간절함을 엿볼 수 있다.
무안 일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군·민간공항 동시 이전 주장도 그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무안사랑모임 회원 30여명은 지난 12일 “광주 민간공항에 이어 군공항 유치로 무안의 미래 발전 청사진을 그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군용기 소음 피해 등을 우려한 무안군과 범대위의 이전 반대 이유에 대해 ‘일방적 주장’이라고 각을 세웠다.
담화문 발표 후 큰절까지 올린 김 지사의 호소와 일부 시민단체들의 주장처럼 군공항과 국내선이 함께 와야 무안 발전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