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정명(定名) 1천년을 기념해 편찬하기로 한 ‘전라도 천년사’가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여 폐기될 위기에 놓였다. 광주와 전남·북 등 호남권 3개 광역자치단체가 24억 원을 들여 공동으로 추진한 전라도 천년사는 34권 1만3천559쪽에 달하는 방대한 역사서이지만 편찬 작업 마지막해인 지난해부터 식민사관 지명 논란 등을 빚어 출판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다.

전남도 시장·군수협의회가 지난 10일 성명을 통해 최근 34권의 e-book을 통해 공개된 전라도 천년사 폐기를 촉구했다. 협의회는 남원을 ‘기문’, 장수를 ‘반파’, 강진·해남을 ‘침미다례’, 구례·순천을 ‘사타’라고 기술하는 등 임나4현의 지명을 기술한 점은 심각한 역사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오류와 왜곡된 서술은 전라도민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고대사 부분에서 사실 검증이 어려운 ‘일본서기’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날조된 사실을 차용했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오는 16일 전남도의회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라도 천년사 폐기를 공식 촉구할 방침이다.

앞서 광주시의회의 지난 1일 전라도 천년사 편찬 즉각 재논의 성명에 이어 전남도의회도 4일 전라도 천년사 전면 폐기를 요구했다. 독립운동사와 식민사관 권위자인 이덕일 순천향대 교수도 전라도 오천년사 바로잡기 500만 전라도민연대가 지적한 내용 중 임나일본부설과 관련된 지명이나 용어가 사용된 일체 공개 및 공식 사과 등 7개 요구안을 제출했다.

전라도 천년사는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정론에 입각해 기술해야 한다. 이의신청이 빗발치자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는 충분한 의견 수렴을 위해 오는 7월 9일까지 천년사를 공개하기로 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발간 기념 봉정식을 잠정 연기할 만큼 역사 왜곡 파장을 몰고온 천년사 폐기 요구는 계속될 전망이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