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식민사관의 역사 서술로 지역 사회 갈등
“평가절하 안돼”… 전례 없는 성과란 긍정도

27일 남도일보 회의실에서 ‘전라도 천년사 왜곡 논쟁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27일 남도일보 회의실에서 ‘전라도 천년사 왜곡 논쟁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전라도 천년사’는 지난 2018년부터 5년간 호남권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추진해온 대형 역사 기록 프로젝트로 당초 고려 현종 9년(1018년)부터 전라도 정명(定名) 천년(2018년)까지 천년사를 기록하려다가 편찬 범위를 확대해 전라도 오천년사로 확대했다.

지난 2018년부터 총 24억 원의 예산을 들여 집필진 213명이 투입됐다. 전북도 출연기관인 전북연구원이 주관한 전라도 천년사는 총 34권으로 총서 1권과 고대부터 현대 시기별 통사 29권, 도백 인명사전 등 자료집 4권 등으로 구성됐다. 5천 년사를 모두 담았다. 집필진 213명은 물론 자료조사 연구원 등 총 600명이 무려 5년간 방대한 전라도 오천년 역사를 기술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일제 식민사관의 역사왜곡 논란이 제기됐다. 일본이 고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任那)일본부‘설의 근거로 작성돼 전라도민을 일본의 후손으로 저술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지난해 12월 전주에서 열릴 에정이던 봉정식이 결국 연기되는 등 홍역을 앓고 있다. 광주·전남·전북지역 정치권도 가세했다.

호남 국회의원들은 지난 5월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왜곡 기술된 부분에 대해 드러난 문제가 수정되지 않는다면 출간 작업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의원들은 “심각한 오류에도 불구하고 600여 명이 사료수집과 집필에 참여한 방대한 서사를 불과 2주의 기간 동안 e북으로 공개하고 의견을 제출하라고 하면서, 초고 발표 이후로 단 한 번의 공개적인 학술 토론회조차 개최하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편찬위원회의 처사가 불통과 편파의 수준을 넘어 국민에 대한 횡포”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호남사학회를 비롯한 호남지역 역사·문화 연구단체 18곳은 “‘식민사학, 친일매국노’라는 자극적인 폄훼로 평가절하 될 수 없는 전례 없는 성과물”라며 맹목적인 비난을 멈추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지난 6월 성명서를 내고 “우리 사회가 식민 지배라는 아픈 경험을 겪었던 탓에 ‘식민 사학’이라는 말에 민감하지만, 역사와 민족의 자부심은 허위와 기만이 아니라 진실에서 찾아야 한다”면서 호남권 3개 광역지자체와 시민사회에 “냉철한 자세로 진위를 살펴, 건전한 비판의 대열에 서달라”며 천년사의 정상적인 완간 선언을 촉구했다.
/노정훈 기자 hun7334@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