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전남지역의 최고 기온이 36℃를 오르내리는 등 극한 폭염이 9일째 계속되면서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다행히 광주·전남에서 폭염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독거노인이나 저소득 취약 계층은 목숨까지 잃을 수 있는 위험에 노출돼 이들에 대한 보호 대책 강화가 최우선이다.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감시체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20일부터 8월 1일까지 광주에서 30명, 전남에서 73명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 온열질환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8명 보다 3배 이상 많다. 지난해 여름철을 통틀어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 20명을 훌쩍 넘어섰다. 전남지역 온열질환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74명보다 소폭 줄었으나 폭염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전국적으로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16명인 것으로 잠정 집계된 가운데 2일 오전 현재까지 광주·전남지역 폭염 관련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
이와 관련, 광주시는 9월 30일까지를 폭염대책기간으로 정하고 25개 의료기관을 통한 온열질환 감시체계와 폭염구급대 등 응급 구급체계를 구축했다. 폭염에 취약한 독거노인과 거동이 불편한 시민들이 무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2천63개소의 무더위쉼터도 운영 중이다.
전남도는 긴급 예비비 63억 원을 편성해 시·군에 교부하고, 시·군에도 신속하게 지원 대상자 선정 등 후속절차를 이행토록 하는 등 피해 예방에 총력을 쏟고 있다. 특히, 도내 모든 마을경로당 9천212개소에 냉방비 7·8월분으로 개소당 30만 원씩 총 28억 원을 추가 지원했다.
폭염 피해 예방은 과할수록 좋다는 게 불문율이다. 시·도의 선제 대응으로 광주·전남 ‘폭염 사망자 0명’이 변함 없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