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증가와 사회적 무관심 속에 광주지역 2021년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孤獨死) 발생률이 전국 광역시·도에서 네 번째인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고독사를 줄이려면 1인 가구의 고립감 해소를 위한 정책 발굴 등 지역공동체 차원의 안전망 구축이 절실하다.
남도일보 취재 종합 결과, 보건복지부 실태조사(2022년)에 따르면 2021년 전국 고독사 수는 3천378명으로, 2019년을 제외하면 최근 5년간 증가 추세다. 광주에서는 5년간(2017~2021년) 551명에 이르는 등 해마다 100명 이상이 홀로 죽음을 맞고 있다. 광주지역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 발생률은 7.7명(전국 평균 6.6명)으로, 부산(9.8명)과 인천(8.5명), 충남(8.3명)에 이어 광역시·도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남의 경우 6.8명으로 전국 평균을 약간 웃돌았으나 대전, 경기와 함께 매년 증가세를 보인 곳으로 분류돼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더군다나 고독사 중 극단적 선택을 한 20대와 30대의 비중이 각각 56.6%, 40.2%를 차지해 청년 고독사도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고독사가 늘고 있는 것은 고령화에 따른 1인 가구 증가에도 이들의 외로움과 생활고 등을 해결해 줄 뚜렷한 묘책이 없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올해 442억 원을 투입, 3대 이음 정책(안심·돌봄·서로 이음)을 골자로 한 1인 가구 지원 대책을 시행 중이다. 고독사 대상을 ‘65살 이상 노인’ 으로 제한한 규정을 없앤 ‘광주시 고독사 예방 및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 조례안’도 지난 2월 통과됐다. 하지만 지자체와 지방의회만으론 한계를 보일 수 밖에 없어 지역공동체 모두 고독사 예방에 총력을 쏟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