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윤의준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 초대 총장의 해임을 이사회에 건의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산자부가 지난 27일 한전공대 감사 결과, 업무추진비 및 법인카드 부정 사용 등이 확인돼 총장 해임 건의 조치를 하기로 했으나 위반 정도가 총장 해임까지 할 사안인지 의구심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한전공대 감사결과, 예산·회계, 인사·총무, 공사 및 계약, 연구 등 기관 운영 전반에 걸쳐 규정 위반과 관리 부실, 도덕적 해이가 다수 발견됐다. 산자부는 이 같은 감사결과를 토대로 징계 6명, 주의·경고 83건 등의 처분을 요구했다. 부당하게 수령한 시간외 근무수당과 법인카드 부정 사용 금액, 연구목적 외 집행된 연구비 등과 관련해서도 총 5천900만원을 환수 조치키로 했다.
문제는 개교 1년 만에 대학 설립 초기 시스템 불안정, 인력 부족 등 각종 악조건을 딛고 정상적인 대학 운영을 위해 노력한 총장의 해임을 건의했다는 점이다. 이미 한전공대는 설립 단계서부터 ‘문재인 정부의 정치적 산물’이라는 프레임에 갇힌데 이어 윤석열 정부 들어 전방위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매년 1천억 원이 넘는 출연금 규모도 30%가량 축소됐다.
곧바로 전남도가 규정의 위반 내용과 위반 정도를 고려할 때 총장 해임 건의는 과도하다는 게 지역민의 평가라고 주장했다. 야당을 비롯한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도 강력 반발하고 있다. 윤 총장은 2020년 5월 선임(임기 4년) 됐다. 한전공대는 총장 취임 이후 2년 연속 높은 모집 경쟁률로 서울공대, 과기 특성화대 수준의 우수 신입생의 선택을 받고 있다. 윤 총장의 공(功)이 감사결과의 과(過)에 미치지 못하는 지 따져볼 대목이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 [사설]코로나 전염병 4급 하향 예고 속 광주·전남 확진 폭증세
- [사설]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함평 이전 4년째 제자리, 절충안 찾아야
- [사설]광주 5대 신활력벨트, 노잼도시서 꿀잼도시 변신 기대
- 정부 ‘한전공대 흔들기’…지역사회 반발 확산
- [사설]"광주 군공항 고흥, 국내선 무안으로" 군공항 이전 새 변수 되나
- [사설]‘무지·배짱 행정’이 부른 강진만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 "한국에너지공대 운영 등 발전 계획 차질 우려"
- 야당 국회의원 95명 "한전에너지공대 ‘정치탄압’ 중단해야"
- [사설]광주에도 철근 빠진 ‘LH 순살 아파트’라니
- [사설]무관심 속 고독사 증가, 지역공동체 차원 안전망 시급
- 정부 ‘한전공대 흔들기’…광주·전남서 전방위 반발(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