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등 지방 공공의료 체계 붕괴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전국에서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고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전남의 경우 ‘의료 방임 지대’ 수준이어서 국립의대 신설 및 의대 정원 확대 요구 목소리를 더 이상 외면해선 안 된다.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광주·전남에서 공공의료기관 1곳, 지방의료원 3곳 등 4곳이 의사를 확보하지 못해 4개 진료과를 휴진하고 있다. 광주에서는 국가보훈부 소속 광주보훈병원(종합병원)의 호흡기내과가 의사를 충원하지 못해 휴진 중이다. 광주보훈병원은 지난해에도 전문의 집단 사직으로 피부과, 신경외과, 안과 등 3개 과에서 진료 차질을 빚기도 했다.
전남에서는 목포시의료원(종합병원)과 강진의료원(병원)이 각각 안과, 외과 의사가 없어 해당 환자를 받지 못하고 있다. 지역 거점 공공병원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의료원이 의사 부족으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여수시립요양병원의 경우 방사선종양학과가 의사를 구하지 못해 휴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당 김원이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차의료 방문진료(왕진) 수가 시범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나 최근 3년간 전남지역 의사 왕진은 단 1건에 그쳤다. 반면, 사업 참여 의사의 49.2%가 서울·경기지역에 집중돼 지방의 방문진료 소외 심각성을 그대로 보여줬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그동안 정부, 국회,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등을 찾아 국립의대 신설을 강력 촉구했다. 경북도와 정책 연대를 통해 의료 최대 취약지 의대 신설 대정부 공동건의도 했다. 이제 정부는 국립의대 설립과 의대 정원 확대 등으로 지방의료 공백 사태만은 막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