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광주 자율주행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에 대한 국비 대폭 지원이 요구된다. 산자부가 특화단지를 지정해놓고도 올해 ‘쥐꼬리 지원’에 이어 2024년 정부 예산안엔 아예 반영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김경만 의원의 국감 자료에 따르면 산자부는 지난 7월 5개의 소부장 특화단지를 신규로 지정했다. 광주 자율주행차 소부장 특화단지는 진곡 일반산단, 빛그린 국가산단, 미래차 국가산단 3개소다.
하지만 5개 특화단지의 올해 예산은 313억원으로, 단지 당 62억원선에 그칠 전망이다. 세부적으론 테스트베드 170억원, R&D 135억원, 인력양성 8억원으로, 단지 당 테스트베드 34억원, R&D 27억원, 인력양성 1억6천만원 수준이다. 광주에 자율주행차 부품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지난달 취임 전 미래차 전환을 위해 R&D 투자를 강화하고 재직자 전환교육을 강화하겠다던 방문규 산자부 장관의 약속이 립서비스에 그치고 있다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반면 캐나다는 2020년 10월 포드사의 공장을 전기차 생산으로 전환하는 데 6천600억원을 지원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해 조지아주의 현대자동차 전기차 전용 공장에 2조원 수준의 인센티브를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 자율차 소부장 특화단지는 자율주행차에 필수적인 라이더, 레이다 등 인지센서의 소재·부품·장비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 추가 지정을 위해서는 광주 소부장 특화단지로 선정된 자율차, 모빌리티 산업에 특화된 반도체 패키징 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자동차 산업은 내연기관차에서 미래차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광주 자율차 소부장 특화단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으로 미래차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