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 후보지 5곳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앞둔 광주시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건립을 위해선 환경 안전성과 주민 소통 및 선정 절차 투명성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이는 남도일보와 광주시의회가 지난 11일 시의회 예산결산특위 회의실에서 ‘광주 쓰레기 소각장 어떻게 만들 것인가’ 주제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도 제시됐다.

이날 토론회 발제를 맡은 오세천 공주대 교수는 쓰레기 소각장의 성공적인 건립을 위해선 경제적 보상과 환경 안전성 등을 조언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종필 광주 환경운동연합 생태도시국장은 사업 진행 과정을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그 과정에서 주민들이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성수 한국환경NGO호남제주협회 사무총장은 광주시가 정부와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사업자와 주민의 갈등을 조정하면서 주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2030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광주시가 추진 중인 쓰레기 소각장은 지난 6월 입지 후보지 공모 결과, 총 6곳이 신청할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다. 광주시가 입지 선정 지역에 1천억원 규모의 지원과 주민친화적 랜드마크형 소각장 건립 등의 조건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광주 쓰레기 소각장 건립사업은 이번 주 공모한 6곳 중 결격사유를 보인 1곳을 제외한 5곳을 대상으로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어 입지 후보지 타당성 결과 공람·공고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인접 지자체 협의 요청 등을 거쳐 최종 입지가 결정 고시된다.

쓰레기 소각장은 더 이상 님비시설이 아닌 지역발전과 주거 환경을 개선할 ‘게임체인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번 토론회 제안들이 2029년까지 3천240억원을 들여 650톤 규모로 세워질 광주 쓰레기 소각장 건립 과정에 적극 반영되길 바란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