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광주·전남지역에 시민분향소가 마련되는 등 전국적으로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으나 그날의 상흔(傷痕)은 여전히 아물지 않고 있다. 참사 이후 세 차례 조사위원회, 특검, 검찰 특별수사단이 각종 의혹을 살폈으나 근본적인 좌초 원인조차 밝혀지지 않았다.

참사 10주기를 앞두고 세월호 광주시민상주모임은 지난 12일 광주 동구 5·18 민주광장에 시민분향소를 설치했다. 참사 당일인 오는 16일까지 오전 9시∼오후 8시 운영되며, 헌화나 분향 등으로 희생자를 추모할 수 있다.

13일 오후 2시에는 시민분향소 인근에서 청소년들이 직접 기획·참여하는 ‘청소년기억문화제’가 열렸다. 이날 전남 여수 이순신광장·목포 평화광장·순천 조례호수공원에서는 시민단체 주관으로 추모문화제·추모음악회가 개최됐다.

14일 오전 10시에는 진도 팽목항(현 진도항) 등대길에서 전남도가 안전 사회를 다짐하는 추모제를 마련했다. 이날 광양·강진에서도 문화제가 개최됐다. 16일에는 진도군 동거차도 인근 침몰 해역에서 선상추모식이 거행된다.

광주 남구는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16일까지 자체적인 추모 기간을 정하고 청사 1층에 별도 분향소를 마련했다.

하지만 전국적인 추모 물결에도 “아직도 세월호 타령이냐, 이젠 지겹다”는 등의 막말은 생존자와 유족들의 가슴에 비수처럼 꽂히고 있다. 수학 여행길에 오른 안산 단원고 학생 등 304명이 숨지거나 실종된 지 10년이 흘렀지만 대형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강산이 한 번 바뀌었는데도 ‘안전한 대한민국’은 멀기만 하다. 세월호 단체와 유족들이 침몰 원인과 구조 실패에 대한 진상 규명을 계속 요구하는 이유이다.

다음달 새롭게 출범하는 제22대 국회는 세월호 참사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해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아야 한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