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답보상태인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사업이 24일 소음대책 마련 토론회를 계기로 물꼬를 터야 한다.
광주시, 전남도, 국방부, 광주·전남지방시대위원회, 광주연구원, 전남연구원 등 7개 기관이 심혈을 기울인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 소음대책 마련 토론회가 이날 오후 2시 초당대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된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해 12월 17일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의 합의에 따른 것이다. 당시 시·도지사는 공동 발표문을 통해 군공항 이전 문제에 의미 있는 진전이 이뤄지면 시·도가 협의해 광주 민간공항을 KTX 2단계 개통 시기(2025년 예정)에 맞춰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키로 했다. 광주 민간·군공항의 무안공항 통합 이전에 대해 무안군민의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께 적극 소통하고 설득키로 했다. 소음피해대책 마련 토론회도 공동 개최키로 했다.
하지만 4·10 총선 등과 맞물려 별다른 진척이 없었다. 시·도지사와 김산 무안군수 간 ‘3자 회동’도 성사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토론회는 이전사업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토론회에서는 광주연구원 양철수 매력도시연구실장이 ‘광주 민간·군공항 이전 시 소음대책 및 지원방안’을, 전남연구원 신동훈 공간환경연구실장이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시 주변지역 발전 구상’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이어 최치국 광주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아 패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인다. 무안군민과의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돼 있다.
통합공항 이전부지 선정은 국방부 등과 이전부지 관계 지자체장의 협의와 이전부지 지원계획에 근거해 주민투표로 최종 결정된다. 그럼에도 반대를 위한 반대는 지역 발전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번 토론회가 소음영향 대책과 보상 방안에 대한 객관적 기준과 보상의 방향을 이해하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