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 농촌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농도(農道) 전남’의 위기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남도가 스마트 청년농업인 1만 명 육성과 ‘전남형 만원주택’ 보급 등 각종 대책을 세우고 있으나 출산율 급감에 따른 인구 감소 등으로 전남 농촌 소멸을 막는데 역부족인 실정이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농가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어선 데다 처음으로 100만 가구 아래로 떨어졌다. 연령별 농가인구는 70세 이상이 전체 농가인구의 36.7%로 가장 높았다. 이어 60대 30.7%, 50대 14.9%, 40대 5.5% 등의 순이다. 반면, 30대는 3.3%에 그쳤다. 전체 농가인구가 줄고 65세 이상 고령자는 늘면서 농가인구 중 고령인구 비율이 52.6%까지 상승했다.
문제는 전남이 전국에서 경북 다음으로 농가 및 전업농가 비중이 높고 논벼 분포 비율과 어가 규모는 최고 수준이란 점이다. 외부 인구 유입이 없으면 사실상 농·어업을 포기해야 하는 심각한 상황이다. 전남 농가는 14만5천 가구로 경북(16만6천 가구) 다음으로 규모가 컸다. 이 중 전업농가도 8만7천 가구로 경북(10만9천 가구)에 이어 두 번째다. 논벼 비율의 경우 전남이 17.6%로 가장 높았다. 어가 규모도 전남이 1만6천 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전남도는 농어촌 고령화 등에 대비, 2031년까지 스마트 청년농업인 1만 명을 육성하기 위해 3조3천538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청년인구 유출을 막고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전남형 만원주택’ 사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지만 어느 정도 효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식량과 미래 먹거리 산업은 국가의 존폐가 달린 만큼 중앙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