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언론이 정부 광고의 집행과 지역 뉴스 접근권 등에서 홀대를 받고 있다. 전방위적인 지역 언론 경시 현상은 지방분권에 역행하는 처사여서 신속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이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지 및 지역지 정부광고 집행현황’에 따르면, 2022년 전국지에 투입된 정부광고비는 전체 54.0%인 1천226억6천400만원에 달했다. 올해 8월 말 기준 817억6천300만원으로 58%를 차지해 2년 전보다 4% 증가했다.
반면, 지역지는 2022년 정부광고비의 46%인 1천46억3천300만원을 수주했다. 지난해에는 42.7%인 1천19억6천100만원을 확보했다. 올해 8월말까지 광고비는 42%인 591억2천900만원에 그쳤다. 특히, 2022년부터 올해 8월말까지 호남 지역지 광고비는 335억1천500만원으로 영남지역(1천9억원)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충청지역보다도 150억원 이상 적어 호남 지역지에 대한 푸대접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 의원도 "지역신문 활성화로 지방분권 강화, 지역 소멸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민주당 조인철 의원의 네이버 국정감사 질의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에서 노출 빈도가 가장 높고 별도 수익이 발생하는 ‘뉴스 콘텐츠 제휴’의 경우 지역매체는 전체 84곳 중 12곳(14.1%)에 머물렀다. 2016년부터 시행된 ‘포털뉴스제휴평가위원회’ 심사 결과로 추가 편입된 지역지도 전무했다. 인구 322만명인 광주·전남 지역의 경우 지역방송 1곳만 포함됐을 뿐 지방지는 단 한 곳도 선정되지 못했다. 정부와 네이버 측은 ‘지역언론이 없으면 지방도, 국가도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