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 산하기관들에 대한 광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행감)가 잇단 부실 및 허위 자료 제출로 중단되는 등 파행을 빚었다. 행감 보이콧 사태는 시의원들의 ‘군기잡기’ 차원이란 일부 해석도 나오지만 전적으로 산하기관의 느슨한 행정이 부른 불상사다. 해당 기관장은 직원들의 단순한 오타 또는 오기라고 해명했으나 조작이 의심되거나 고의로 누락했을 가능성이 높은 자료도 많기 때문이다.
광주시의회 산건위는 지난 5일 광주테크노파크의 현황 보고 자료 부실을 이유로 행감을 중단했다. 해당 기관에 대한 행감은 추후 일정을 정해 다시 진행할 예정이다.
강수훈 시의원은 이날 "2023년 직급별 급여 내역의 경우 작년 보고에서는 임원·단장·본부장 합산액이 2억5천500만원이었으나 올해는 2023년 기준 5천600만원만 지급했다고 축소 보고했다"고 지적했다. 6급 급여 수치는 14억원에서 21억원, 7급은 8억6천만원에서 13억원으로 크게 달라져 있으며 공무직 급여 현황은 아예 누락했다는 게 강 의원의 주장이다. 중소벤처기업 매출과 폐업 현황도 2022년 기준 매출을 6천651억원으로 보고했다가 3천909억원으로 바꿔 보고하기도 했다.
광주테크노파크 측은 담당자의 실수라고 항변했으나 궁색한 변명이란 지적이다. 이날 광주그린카진흥원의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정원과 공사 입찰 현황 등과 관련한 문제점이 발견됐다.
앞서 전날 열린 행감에서도 광주도시공사의 법률고문 대리인 명단과 각종 위원 수가 부정확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광주관광공사의 경우 수요응답형(DRT) 시티투어 버스 자료를 허위로 만들거나 고의로 수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의원들이 의회를 경시하고 행정에 대한 시민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피감 기관들의 태도에 분노한 이유다.
부실 및 허위 자료 제출 등으로 민선 8기 후반기 첫 행감 중단 사태가 재발해선 안 된다.
키워드
#광주테크노파크 #행정사무감사 #광주시의회 #허위 자료 #부실 자료 #중단 사태 #보이콧 #군기잡기 #기관장 #고의 누락 #남도일보 #사설 #직급별 급여 #임원 #강수훈 광주시의원 #공사 입찰 #광주그린카진흥원 #광주도시공사 #대리인 #피감 기관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 [사설]전남도립대 총장 직위해제, 부끄러운 민낯
- [사설]광주시 산하기관 업무부실 언제까지…
- [사설]전남 세계 김밥 페스티벌 대성공과 의미
- [사설]광주복합쇼핑몰·대자보 여론조사 결과 활용해야
- [사설]삼성전자 광주공장 협력업체 줄도산은 안 된다
- [사설]14억대 고가 장비 부품 헐값에 고철로 팔다니
- [사설]광주·전남 국회의원, 국비 증액에 사활 걸자
- [사설]광주예술의전당, 대관 공연기획사 공개해야
- 의회 무시하나…광주시·전남도의회 행감 잇단 파행
- 행감서 부실 자료 제출 놓고 광주시의회-광주시 ‘충돌’
- 김승남 "재무 건전성 개선과 신규 개발 사업 적극 추진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