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지난 2월 24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전라남도 통합대학교 국립의과대학 설립 국회 대토론회 및 결의대회’에서 국립의대 설립에 대한 200만 전남도민의 간절한 염원과 강한 의지를 전달하기 위해 참석자들과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전남도 제공

전남권 국립의과대학 내년 신설이 무산됐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17일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확정했다.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추진했던 전남권 의대 설립도 불발됐다. 통합의대 신설을 목표로 진행했던 국립 목포대와 순천대의 통합 동력도 상실될 위기에 처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3월 14일 민생토론회에서 약속한 이후 급물살을 탄 전남권 의대 설립이 13개월 만에 좌초되면서 전남도와 도민들에게 큰 실망을 안겼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의대정원 원점 회귀 발표 이후 곧바로 아쉬움을 표시했다. 김 지사는 입장문을 통해 "이번 발표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임을 이해하나, 정부가 담화문으로 약속한 전남 국립의대 설립과 관련한 어떠한 언급도 없었다는 점에 대해 깊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남도민도 모든 국민과 동등하게 헌법에서 보장하는 차별 없는 건강권을 누리도록 전남지역에 국립의대가 반드시 신설돼야 한다"며 2027학년도 의대 정원을 결정할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의 논의 과정에서 최우선으로 반영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목포대와 순천대도 의대 설립과 별도로 대학 통합을 추진하면서 통합의대 설립을 위해 끝까지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남도도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을 6·3대선 각 정당 후보 공약으로 반영시킬 최우선 핵심과제로 선정했다. 전남도 국립 의과대학 설립 범도민추진위원회도 의대 신설 유치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30년 도민의 숙원을 해결하고 전남도민의 생명권을 지켜야 한다는 강한 의지는 결코 포기해선 안 되기 때문이다.

정부와 의료계는 전남도가 의과대학은 물론,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을 제외하면 동·서부권에 상급종합병원 1곳도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