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첨단3지구에 들어선 국가 AI데이터센터 전경. /광주광역시 제공

정부가 국가 AI(인공지능)데이터센터를 광주에 국한된 인프라로 치부하면서 운영 예산을 대폭 삭감해 안타깝다.

기획재정부는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에 광주시가 요청한 AI 2단계 사업(글로벌 AX 실증밸리) 예산 670억원 중 25억원만 반영했다. ‘지역사업’이란 이유를 내세웠다. 1단계 사업 종료로 추경 예산에 반영할 근거가 없고, GPU는 과기부 사업과 중복될 수 있다는 게 기재부의 공식 입장이다.

하지만 광주시가 요구한 사업비 중 34%는 ‘AI 집적단지 기반 컴퓨팅 자원 지원’용이다. AI데이터센터에서 이미 확보한 GPU(그래픽 처리장치) 44.3PF에 미사용 GPU 34.3PF를 추가 임차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지원하는 게 골자였으나 이번 추경에 단 1원도 반영되지 않았다. 반면, 국가 주도의 AI산업 육성 명목으로 2조원가량의 예산이 추경에 포함됐다.

국가가 만들고 광주가 운영하는 국가 AI데이터센터를 활용하기 위한 예산은 광주만을 위한 예산이 아니다. 국가 AI산업 육성의 핵심 인프라이자 대한민국의 성장판을 여는 국가적 자산이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지난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추경이 AI 추경이라고요? 새 GPU를 살 돈 1조는 예산에 담겼는데, 이미 확보된 GPU를 활용하기 위해 광주가 요청한 670억원은 못 주겠답니다. 그러면서 겨우 25억만 정부 예산에 담아 보겠다고 합니다. 광주의 ‘지역사업’이라서 그렇답니다"라고 꼬집었다.

강 시장은 "과기부도 동의하고 제안한 사업을 기재부가 억지 논리로 거부하고 있습니다"라며 "사천의 우주항공사업, 거제의 첨단 조선사업도 지역에서 하면 지역사업이란 말입니까?"라고 반문했다.

현재 세계는 미국과 중국 중심의 AI주도권 전쟁을 치르고 있다. 우리도 이런 세계적 추세에서 밀리면 미래가 없다. 광주의 국가 AI데이터센터를 바라보는 정부의 시각도 180도 바뀌어야 한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