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예 조치 9월말로 기한 다가와
은행권, 재연장 여부 논의 시작
중기중앙회, 현장 어려움 조사

 

한국은행·연합뉴스 제공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지원한 대출금에 대한 원금 만기와 이자 납기가 오는 9월 말로 임박한 가운데 은행권이 또 다시 연장해 줄 지 주목된다. 최근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따라 재연장 가능성이 높지만 대출 규모가 막대해 잠재적 부실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 금융 당국의 결정에 관심이 쏠린다.

은행권은 지난해 2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정부의 코로나19 금융지원 방침에 따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했다.

26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관련 여신 지원 실적’ 자료에 따르면 이달 22일까지 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은 총 99조7천914억원(41만5천525건)으로 집계됐다.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8조4천129억원(1만4천949건)과 납부 유예된 이자 549억원(4천794건)을 합하면 총액 규모는 108조2천592억원에 달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4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출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을 유예하는 조치를 실시했다. 이후 유예 조치는 두 차례 더 연장됐고 오는 9월 말에 최종적으로 종료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 4차 대유행으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면서 세 번째 연장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국민은 빚더미에서 허우적 거리고 있는 데 은행은 전대미문의 이익을 낸 것으로 파악되면서 금융당국이 ‘고통 분담’ 요청하면 거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금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KB금융지주의 당기순이익은 2조4천743억원, 하나금융지주는 1조7천532억원, 우리금융지주는 1조4천억원, 신한금융지주는 2조3천억원 등 대략 8조원에 달한다. 국내 금융 역사에서 은행그룹들이 이처럼 엄청난 이익을 낸 적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최근 금융당국과 은행권도 재연장 여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인 상황에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대출과 이자를 갚으라고 하기는 어렵다는 게 이유다.

다만 한계에 이른 자영업자의 대출 원금과 이자를 계속 미뤄주면 향후 더 갚은 빚의 수렁으로 밀어 넣고 부실 채권의 규모를 키울 수 있는 만큼 연장과 유예를 9월 말부터 단계적으로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대출 비중이 크게 늘어난 상황이어서 일단 분위기를 지켜보고 있다. 현재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겪고 있는 대출에 대한 어려움이 어느 정도 인지 조사를 하고 있다. 조사 결과를 보고 금융당국에 연장 여부를 건의할 계획이다”면서 “다만 현재 많이 어렵다고 하기 때문에 연장쪽으로 가닥이 잡힐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노정훈 기자 hun7334@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