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기 이어 8기도 핵심 현안은 ‘일자리’
영호남 동맹…반도체 산업 유치 관건
권역별 경제권 형성, 메가시티도 관심
탈원전 폐기에 해상풍력 해법도 시급

 

민선 8기 시대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민선 8기에도 광주·전남의 최대 현안은 미래 먹거리 창출이 꼽힌다. 사진은 6·1지방선거 후보 시절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당선인의 광주-전남 상생정책 협약식. /전남도 제공

민선 8기 임기 시작이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광주·전남의 핵심 현안은 미래 먹거리 창출로 꼽힌다. 특히 새 정부와 합을 맞춰야 하는 민선 8기는 첨단반도체 산업 유치와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 육성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풀어내야 할 전망이다.

26일 광주광역시 등에 따르면 민선 8기 광주시의 핵심 현안은 광주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이 꼽힌다. 강기정 광주시장 당선인이 후보 시절부터 공약한 반도체특화단지는 윤석열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정책인 기회 발전 특구를 활용해 지역에 9천917㎡ 규모의 반도체특화단지를 만들어 지역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게 주요 골자다.

기회발전 특구를 활용해 광주·전남에 반도체 특화단지를 조성하고 지역에서 인재를 육성해 수도권에 집중된 산업과 인재들을 지방으로 분산시켜 지역균형발전을 이룩하는 것이 목표다.

이에 강 당선인은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에게 ‘영호남 반도체 동맹’등을 제안하고, 후보 시절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지방선거 당선을 전제로 취임 후 이를 논의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강 당선인은 지난 21일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국가균형발전에는 여야도 없고, 진보와 보수의 문제도 아니다”며 “영호남 반도체 동맹을 맺어 수도권에 집중된 정치, 산업, 문화를 지방으로 분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이외에도 광주 경제를 먹여살릴 미래먹거리로 권역별 경제권역을 형성하고 신산업 생태계를 육성하는 초광역 메가시티도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초광역 메가시티는 최근 이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부산·울산·경남은 최근 ‘부울경 특별연합’을 출범하고 메가시티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광주와 전남·북도 에너지경제공동체를 표방한 초광역권 발전 전략을 모색 중이다.

민선 8기 전남도가 풀어내야 할 핵심 현안은 신안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 단지 조성사업이 꼽힌다.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과 맞물려 기대를 모았던 해당 사업은 최근 새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와 함께 전환점을 맞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남도는 에너지대전환 시대, 원자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의 조화 이른바 ‘에너지믹스’를 위해 해상풍력 사업이 시급하다고 보고 이를 주된 추진 근거로 삼아 전남형 상생일자리 창출로 이어나간다는 방침이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산업기반이 취약한 광주·전남은 민선 8기에도 양질의 일자리를 얼마나 만들어 내느냐와 지역경제 발전을 어떻게 이룰 것인지가 최대 화두가 될 전망”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와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 등의 추진 과정은 지역민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은창 기자·김다란 기자 lec@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