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한빛원전 내 고준위 핵폐기물 건식 저장시설 건설계획에 대한 주민반발에도 방사성폐기물(방폐물) 처리시설 해외 선진지 시찰에 나서 빈축을 사고 있다. 해외 선진지 시찰은 한빛원전 지역안전협의회나 전남도의회 안전특위와 사전 협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데다 원전 주변 자자체도 불참하면서 명분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남도일보 취재 종합 결과, 전남도 주관으로 도 직원 3명과 영광군, 한빛원전, 한국원자력 환경공단 직원 각 2명 등 9명이 방폐물 관리시설 운영실태 해외 선진사례 조사를 위해 19~27일까지 유럽 3개국을 출장 중이다. 이번 연수는 1인당 610여만 원의 예산을 참가 기관별로 부담했다. 9일 일정으로 스위스,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 3개국을 방문해 5곳의 방폐물 처리시설의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등을 둘러보고 있다.
하지만 해외 시찰 추진 과정에서 지역안전협의회나 도의회와 협의 등은 없었다. 당초 참가 대상에 한빛원전서 30㎞이내 지역인 무안군, 함평군, 장성군 직원 1명씩도 포함됐으나 이들 지자체는 주민공감 부족 등을 이유로 합류하지 않았다. 전남도에서 지난 5월 중순께 갑자기 해외 벤치마킹을 결정하는 바람에 제대로 준비할 수 없어 불참하게 됐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 원전안전협의회 측은 영광주민들이 한빛원전 부지 안에 고준위 핵폐기물 건식 저장시설 건설 계획에 대해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 주민대표 등의 의견은 들어보지도 않고 해외 시찰에 나서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남도는 이번 해외 조사활동 결과를 도민께 상세히 보고하겠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전남도가 해외 시찰 결과물에 대해 주민과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면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잃은 해외 시찰이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