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광주 군공항 이전 지역에 1조 원 상당의 ‘통 큰 지원’을 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이전 사업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전남도는 민간공항(국내선) 이전 등이 포함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유감을 표명, 향후 시·도 협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하지만 광주시와 전남도가 자기 입장만 고집할 경우 군공항 이전사업은 사실상 불가능해 대승적 차원에서 서로 협의하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26일 “군공항 이전 지역에 당초 기부대 양여에 의한 차액으로 발표했던 4천508억 원에 광주시 재원 등을 추가, 총 1조 원 상당의 지역개발사업지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군공항 유치의향서가 제출되는 시점부터 햇빛 연금과 스포츠 아카데미, 항공정비(MRO) 산단, 국제학교 등 지역 맞춤형 사업을 유치 희망 지자체, 전남도, 중앙 부처와 협의하고 추가로 지역 개발사업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연간 5천여 명이 교육을 받는 광주시공무원교육원을 유치지역에 신축하는 등 광주시 공공기관을 이전하고 유치지역 생산 농수축산물 우선 구매 및 광주시 등에 전용 판매장을 설치하겠다고도 했다. 당초 예상보다 파격적인 조건을 내놨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반면, 전남도는 ‘입장문’을 통해 광주시의 지원책에 “진일보했다”고 평가하면서도 광주 민간공항 이전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유감을 표시했다. 2007년 11월 무안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광주공항의 모든 기능을 무안공항으로 통합한다는 확약이 16년째 지켜지지 않은 전남도의 서운함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전남도가 광주시의 발표에 대해 대승적 차원에서 ‘환영문’으로 화답한 뒤 추후 협의 과정에서 민간공항 이전문제 등을 논의하자고 제안했으면 모양새가 더 좋지 않았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