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방류하면 전남 수산업계가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우려된다. 전남의 경우 연간 수산물 생산량이 198만8천 톤 규모로 전국의 58%를 차지하고 있다. 어가 인구도 3만5천여 명으로 전국의 37%다. 양식어장의 경우 해면은 전국의 76%, 내수면은 전국의 37%에 이를 정도로 국내 수산업 1번지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역 수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돼 피해액을 추산하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수산업경영인 전남도연합회가 23일 완도항에서 오염수 방류 철회 촉구 시위를 벌이는 이유이다. 오염수 방류 결정 이후 수산물 기피 현상이 생겨나면서 완도지역 생산 수산물 매출이 30% 이상 급감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미 천일염과 건어물 사재기 등으로 우리 사회 곳곳에서 부작용과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수산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자 전남도가 나섰다. 도는 지역 수산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정부에 원전 오염수 방류 피해 관련 특별법과 종합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로 했다. 양식을 포함한 수산물 사전수매 확대, 유통이력관리·원산지표시 강화, 소비 위축에 따른 손실보상금 실시계획 수립, 해역 방사능 분석자료 실시간 공개 등도 요청할 계획이다. 지자체 대책만으론 수산물 피해 최소화에 역부족이란 판단에서다.
민주당 서삼석 의원도 21일 국회 상임위 현안질의를 통해 해양수산부가 오염수 방류 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양·수산업 종사자의 잠정 피해실태를 파악, 업종별 지원 방안을 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정부는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우리 수산물 의 안전성 입증에만 주력해선 안 된다. 지자체와 관련 학계, 수산업계 등과 머리를 맞대 오염수 방류에 따른 해양·수산 피해 중·장기 종합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