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착한가격업소의 가격이 실제 판매가와 2배나 차이가 나는 등 ‘엉터리 정보’로 소비자들에게 혼선을 준 것은 광주시의 ‘무사안일 행정’ 탓이다. 가격이 올랐는데도 수년 전의 가격이 광주시 홈페이지에 그대로 노출됐기 때문이다.

남도일보 취재 종합 결과, 현재 광주 지역에는 동구 37곳, 서구 37곳, 남구 41곳, 북구 55곳, 광산구 50곳 등 총 220곳의 착한가격업소가 운영되고 있다. 지난 2011년부터 가격, 위생, 서비스 품질 등에 대한 평가를 거쳐 각 자치구가 지정한 이 업소에는 홍보와 쓰레기봉투 무상 제공, 상하수도 요금 감면, 시설 개·보수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저렴한 가격으로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 소비자들부터 호응을 받으면서 서민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남구의 A음식점에서 7천 원에 판매되고 있는 품목은 광주시 홈페이지에는 5천 원으로 안내됐다. 더군다나 광산구의 B음식점 대표 품목은 시 홈페이지에 표시된 3천 원보다 2배가 높은 6천 원으로 확인됐다. 착한가격업소 관련 정보에 변동이 있을 경우 이를 광주시 홈페이지 등에 반영해야 한다고 명시한 ‘광주시 착한가격업소 지원에 관한 조례’가 지켜지지 않아서다.

광주시 관계자도 행안부와 자치구 홈페이지는 가격 정보 업데이트를 완료했으나 시 홈페이지는 미처 신경을 쓰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시는 남도일보 취재 이후인 지난달 29일 오후 최신 정보로 수정을 완료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하반기 정보라는 관계 부서의 설명과는 달리 수년 전의 가격이 수정되지 않아 시민들에게 혼선과 불편을 줬다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

광주시는 이번 사례를 거울삼아 시민들에게 정확한 가격 정보 전달로 소비자들의 혼란을 막고 착한가격업소 활성화에도 총력을 쏟아야 한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