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집중 호우로 무너진 제방 주변 주민 대피 문자를 늦게 발송한 것으로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다. 다행히 제방 붕괴 이후 폭우가 멈춰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재난 상황에 맞는 긴급 대피 방송 등 안전관리시스템 재점검이 요구된다.

본보 단독 취재 결과, 지난 27일부터 폭우가 쏟아지면서 28일 오전 북구 석곡동 석곡천 제방 50m가 유실됐다. 하지만 최초 사고 발생 신고 접수 1시간18분이 지나서야 석곡동 주민 대피를 알리는 재난 문자가 발송됐다.

이날 제방 유실 사고를 가장 먼저 인지한 곳은 북부소방서다. 북부소방서는 오전 5시 47분에 최초 신고 접수를 받고 국가 재난관리시스템(NDMS)으로 전파를 했다. 이어 오전 6시 4분께 현장에 도착해 통제선 설치 등 안전 조치 후 북구 안전총괄과 관계자에게 현장 인수인계를 완료했다. 소방의 NDMS전파를 확인한 시는 친수공간과와 북구 등 관할 관공서에 이를 전파했다.

이 같은 절차 등을 거쳐 오전 7시 5분께 재난문자가 주민들에게 전달됐다. ‘석곡동 제방 유실로 인해 피해가 예상되니 월산마을 주민들은 동초등학교 강당으로 대피하라’는 내용이었다. 해당 주민들은 “비가 제방 유실 무렵부터 줄어들고 재난문자가 왔을 때는 그쳐 다행이었지만 계속 폭우가 쏟아졌으면 큰 일이 날뻔했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긴급 재난 발생 시 재난문자 발송이 늦어질수록 인명 및 재산 피해 발생 가능성이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 광주시는 현장 확인을 거쳐 문자를 보낸다고 해명했으나 이번 사례를 교훈 삼아 안전관리시스템 정비가 시급하다. 강기정 시장도 29일 “현장을 확인하고 바로 상황회의를 통해 문자 발송과 현장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숙지하고 훈련하고 적용하는 것에 대해 고민하겠다”고 약속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