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인 ‘전라도 천년사’에 대한 찬반 논쟁이 여전히 뜨거워 출간 여부가 불투명하다. 하지만 온전한 ‘전라도 천년사’란 평가를 받기 위해 역사 왜곡 논쟁을 잠재우고 찬반 양 측의 주장을 반영한 역사서 최종 출판이 이뤄져야 한다.
남도일보와 남도일보TV가 지난 27일 개최한 ‘전라도 천년사 왜곡 논쟁 토론회’에서도 찬반 논쟁이 이어졌다. 찬반 주장을 공개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마련한 이날 토론회는 지병문 전 전남대 총장이 좌장을 맡고 천년사 출판 찬성 측 패널 3명과 반대 측(전권 폐기 요구) 패널 3명이 각각 참석했다. 이들은 고조선 유물 및 역사 축소, 마한과 백제 문제, 임나 등 일본서기 지명 문제, 일본서기 자료에 대한 학문적 평가, 전라도 역사 폄훼 문제, 가야와 백제 문제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천년사 출판 찬성 측 토론자들은 전라도 역사의 위상 회복과 가치를 부각하고 관련 지역의 역사를 국가적 정책으로 연결지은 성과와 내용을 정리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천년사 폐기 주장 측 토론자들은 검증되지 않은 일본서기를 그대로 인용하는 등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전라도 천년사 곳곳에서 역사 왜곡이 발견됐고 용어 사용도 부적절하다고 맞받아쳤다. 이날 토론회에서 양 측의 주장이 너무 달라 천년사 출판과 폐기를 놓고 최소한의 의견 접근 기미마저 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날 토론회에서 드러난 서로 다른 점은 숙고와 내부 논의를 거쳐 양 측의 견해가 반영된 천년사가 발간되길 바란다는 지 전 총장의 주문은 양 측 모두 되새겨봐야 한다.
‘전라도 천년사’는 전라도 정명(定名) 1천년을 기념해 광주와 전남·북 등 호남권 3개 광역자치단체가 5년간 24억 원을 들여 공동으로 추진했다. 총 34권에 이르는 방대한 역사서이지만 편찬 작업 마지막 해인 지난해부터 식민사관 지명 논란 등을 빚어 출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 [사설]코로나 전염병 4급 하향 예고 속 광주·전남 확진 폭증세
- [사설]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함평 이전 4년째 제자리, 절충안 찾아야
- [사설]광주 5대 신활력벨트, 노잼도시서 꿀잼도시 변신 기대
- [사설]"광주 군공항 고흥, 국내선 무안으로" 군공항 이전 새 변수 되나
- [사설]‘무지·배짱 행정’이 부른 강진만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 [남도일보 전라도 천년사 토론회 후기]‘전라도 천년사’의 명예 회복을 고대하며
- [남도일보 전라도 천년사 토론회 후기]식민사학의 빈약한 변명과 비열한 도덕성에 대하여
- 역사시민단체 연석회의,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와 전북도·전남도·광주시에 법적 책임 묻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