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민들의 거주지 인근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쓰레기소각장) 설치 찬성률이 과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찬성률이 갈수록 높아져 광주 쓰레기소각장 입지 선정에 청신호가 켜졌다.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전문위원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코리아정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광주시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한 시민의식 조사 결과, ‘소각시설 거주지 인근 설치 수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54.4%가 "가능하다"고 답했다. ‘수용 불가’45.6%를 오차 범위(95% 신뢰수준에서 ±3.7%p) 내에서 앞서면서 과반을 넘겼다. 더군다나 광주시가 지난해 2월 실시한 설문조사 당시 찬성률 36.6%보다 17.8%p 높아 소각장에 대한 시민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가 소각장 최종 입지로 선정된 자치구에 1천억원 이상을 지원키로 했기 때문이다. 소각장을 주민 친화형·친환경·지역 명소화를 원칙으로 조성한다는 방침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다만, 소각장 설치 시 우려점으로 대기오염(33.4%)과 건강위험(33.0%)을 가장 높게 꼽아 이를 불식시키기 위한 시민 설득작업과 지속적인 소통 노력이 요구된다.
실제, 폐기물 관리법 개정으로 2030년부터 가연성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되지만 전국 특·광역시 중 광주시만 유일하게 소각장이 없다. 이에 대비해 광주시는 하루 처리량 650t 규모의 광역 쓰레기소각장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 입지 선정을 마무리하지 않으면 2030년 가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소각장 입지 선정 3차 공모에 5개 자치구 모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시민의식 조사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