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한병도 국회의원

광주·전남지역 공동주택 단지 절반 이상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아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한다. 특히, 전남지역 일부 군 단위 지역 공동주택 스프링클러 미설치율이 90%를 넘거나 육박하면서 화재 발생시 대형 인명 피해가 우려돼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이 광주시와 전남도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광주지역 공동주택 1천162단지 중 460단지(39.6%)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았다. 구별 미설치율은 동구 63%, 북구 43%, 서구 37%, 광산구 36%, 남구 29% 등이다.

전남지역 스프링클러 미설치율은 1천516단지 중 917단지로 60.4%에 이른다. 전남에서 미설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진군으로 92%다. 이어 보성군 89%, 장흥군 88%, 고흥군 87%, 장성군 85% 등으로 5개 군 지역의 미설치율이 80% 이상이다. 2018년 6월부터 6층 이상 신축 건물의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됐으나 그 이전에 건축된 공동주택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올해 1월 기준 전국 공동주택 단지 스프링클러 설치율은 34.8%에 그치고 있다. 최근 5년간 공동주택 화재 중 스프링클러 정상 작동률도 고작 15.6%다.

한 의원은 지자체와 소방청이 협력해 대형 인명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공동주택에 우선 스프링클러 설치 등 안전조치를 강구할 것을 촉구했다. 광주시도 5층 이하 건축물에도 스프링클러를 포함한 배연설비를 의무 설치하도록 하는 건축법 시행령 개선안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했다. 2019년 12월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북구 두암동 한 모텔 화재로 3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광주시의 개선안은 5년째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기본 소방시설 미비로 국민을 안전 사각지대에 방치한 것은 지자체와 정부의 책임 회피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