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들어 8천명이 넘는 20대가 광주·전남을 떠나면서 지방소멸 위기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젊은 층의 무더기 이탈은 지역의 성장 가능성과 활력을 크게 떨어뜨린다. 특히,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와 유관기관들의 청년 일자리 창출 등 각종 지원책도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어서 실효성 높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지역경제 동향 분석자료’에 따르면 3분기 동안 광주 1천661명, 전남 736명 등 총 2천397명이 순유출됐다. 이 가운데 20대는 광주 827명, 전남 1천541명이다.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8천575명의 20대가 취업과 교육 기회를 잡기위해 수도권 등지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광주·전남지역 청년 고용률이 전국 평균을 밑돌고 회복세도 더디다는 경고도 나왔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와 목포본부가 지난 1월 발표한 조사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15~29세 청년 고용률은 유일하게 전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전국적으로 청년 고용률이 빠른 회복을 보인 반면, 광주·전남지역은 정체된 모습을 보이면서 전국 청년 고용률과의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보고서는 광주·전남지역 청년고용 부진 원인으로 지역 경제성장률 둔화, 낮은 수준의 일자리, 성장과 고용 간 연결고리 약화, 열악한 정주 여건, 청년 선호 일자리 부족 등을 꼽았다.
청년층을 위한 고용 창출 기회가 확대되지 않으면 수도권으로의 탈출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없다. 실제, 광주지역 청년 일자리는 전체의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광주시는 내년 예산안에 청년 월세 및 활동지원비로 242억원을 반영하는 등 청년 이탈 방지에 총력을 쏟고 있다. 전남도도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비 182억원 편성 등 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위기 극복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럼에도 청년 관련 예산들이 효율적으로 사용돼야 청년 유출을 줄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