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는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을 앞두고 해당 기관들이 옮겨와야 할 당위성을 바탕으로 협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 사진은 광주·전남 공동협의체가 회의를 하는 모습을 재연한 그림. /AI생성이미지

광주시와 전남도는 이재명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을 앞두고 해당 기관들이 옮겨와야 할 당위성을 바탕으로 협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 현재 전국 시·도들의 유치 경쟁은 매우 뜨겁다. 더군다나 일부 분야의 경우 벌써부터 과열조짐을 보이면서 광주·전남으로의 유치가 호락호락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남도일보 취재 종합 결과, 국토부는 연말까지 수도권 공공기관 157곳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진행해 내년에 2차 이전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그러나 국토부가 구체적인 이전 대상 기관과 일정을 공개하지 않으면서 지자체들이 대응 전략 마련에 고심 중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지난달 마무리된 광주연구원과 전남연구원의 연구용역을 토대로 이전 후보군을 압축한 뒤 연말까지 지역 연계를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유치 전략을 확정할 계획이다.

시·도는 연구원과 함께 공동 연구용역을 통해 AI(인공지능)·에너지 등 6개 분야에서 30여 개 이전 후보 기관을 도출했다. 최종적으로 7~8개 분야로 늘어날 전망이다. 광주는 AI·문화·통합돌봄 분야를, 전남은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역할을 나눠 상호 보완적 전략을 짜고 있다.

하지만 AI·에너지 분야 기관 유치를 희망하는 울산시가 광주시·전남도와 치열한 유치 경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는 최근 AI데이터센터 유치를 계기로 내년도 ‘AI수도추진본부’ 신설을 염두에 두는 등 총력전을 펴고 있다. 이에 광주시와 전남도가 공동 협의체를 구성해 3차례 이상 실무회의를 진행해 지역 특성과 산업기반을 고려한 기관 맞춤 전략 수립에 집중하고 있지만 그리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지방 소멸 극복과 상생 발전을 위해 공공기관 2차 이전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자칫 시·도가 ‘각자도생’에 나설 경우 ‘실속없는 기관 유치’란 지적을 받을 수도 있다. 최근 국가 AI컴퓨팅센터 후보지 전남 선정으로 쌓인 광주시와 전남도의 앙금이 공공기관 2차 이전 문제로 번지지 않길 바란다.
 

광주 남구의회가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을 앞두고 지난 10월 29일 광주·전남이 초광역 협력체계를 통해 공공기관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남구의회 제공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