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범 대통령 정책실장이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 군·민간공항 무안 이전 논의를 위한 대통령실 주도의 6자 태스크포스(TF)가 올 연말안에 공식 가동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전사업의 주 당사자인 광주시가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야만 6자 TF(이하 TF)가 진척을 보일 수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TF 첫 회의가 연내 개최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6월 말 TF 구성 이후 한 차례도 공식 회의가 개최되지 않았다"며 진행 상황을 묻는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변이었다.
김 실장은 이날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과 (TF 회의)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며 "논의가 진전되고 있으며 조금 더 마무리되는 시점, 올해 안에 (TF)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부 대 양여 현행법 안에서 최대한 인센티브까지 점검(검토)하고 있다"고도 했다.
다만, 무안군이 건의한 "공모 방식은 수용 못 한다"고 못 박았다. 지난 6월 25일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 이후 통합공항 이전 유력 후보지인 무안군민들의 이전 찬성 여론이 반대를 크게 앞질렀다. 김산 무안군수도 남도일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조건 없이 TF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런 마당에 대통령실이 공모 방식 검토가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무안군은 광주 민간공항 선(先) 이전과 광주시의 1조원 규모 지원 약속 이행 방안 제시, 국가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선 제시 등 3가지를 여전히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 중 2가지는 광주시가 주도적으로 풀어야할 사안이다. 그럼에도 광주시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 직속 TF는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으로 구성됐다. 광주시는 TF가 대통령실 주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지만 좀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야 신속한 TF 가동이 이뤄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