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국제기후에너지포럼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대전환 비전과 전남의 역할을 모색하는 ‘제8회 국제기후에너지포럼’이 지난 7월 29일부터 30일까지 1박 2일 일정으로 전남 목포 신안비치호텔에서 열린 가운데 29일 박준일 남도일보 사장과 박우량 전 신안군수, 토론자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전남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로 지정돼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전력 시스템 전환의 첫걸음을 떼면서 첨단산업 유치에 청신호가 켜졌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5일 전남을 제주와 부산(강서구), 경기(의왕시)와 함께 분산특구로 선정했다. 분산특구는 원거리 송전망을 이용하는 대신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곳에서 소비하도록 하는 ‘지산지소형 시스템’으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근거하고 있다.

분산특구 지정으로 특구 내 분산에너지 사업자는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직접 전력을 팔 수 있다. 전기요금을 한국전력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지역에서 생산한 값싼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워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가 많은 첨단산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더군다나 전남은 지난 5월 최종 후보지였던 솔라시도 기업도시(지정면적 145㎢)에서 전체지역(지정면적 1만2천363㎢)으로 대폭 확대 지정돼 22개 시·군 어디서든 분산특구 혜택을 누리게 됐다.

정부와 전남도 등은 앞으로 태양광 발전소가 밀집한 해남·영암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지역내 생산-소비를 실현하고 AI 기술로 전력 생산-소비를 최적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다양하게 실증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의 99.6%(호수 기준)가 위치한 배전망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보급해 재생에너지 접속대기 물량을 최소화하면서 배전망 운영을 효율화하는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분산특구 지정으로 에너지 시스템 전환과 혁신, 녹색문명 대전환의 밑거름이 됐다고 강조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도 도내 곳곳에 RE100 산단을 만들어 AI·에너지 수도로 도약, 연간 1조원 규모의 에너지 기본소득을 실현하겠다며 강한 의욕을 보였다.

남도일보도 지난 7월 29일부터 30일까지 목포에서 제8회 국제기후에너지포럼을 갖고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대전환 비전과 전남의 역할을 집중 모색했다. 전남이 이번 특구 지정으로 국가 에너지 시스템 대변혁의 선도지역으로 거듭나길 바란다.
 

출처/ 기후에너지환경부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