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특수는 간데없고 썰렁 재고 밀어내기 출혈 판매도
이통사들 마케팅 비용 증가 당국은 시장


이동통신사들은 내년부터 자율적으로 약관을 만들어 2년이상 장기가입자에 기기변경 및 신규 가입시 단말기 보조금을 줄 수 있게 된다. 단말기 보조금이 부분 합법화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가 작용하면서 일선 대리점들은 연말 특수가 실종된 채 울상을 짓고 있다. 단말기 보조금을 지원받아 새 제품을 사려고 벼르기 때문이다. 게다가 내년초는 2004년 번호이동제도 시작에 따라 이통사들이 일제히 시작한 약정할인의 만기가 돌아오는 때다. 이통시장에 또 한번 변화의 바람이 일 태세다.
정부는 시장 혼탁에 대비해 전담 조직 강화에 나서는 등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 10월말 현재 SK텔레콤의 2년 이상 가입자는 1천236만5천명으로 전체고객의 63.7%, 이통3사 2년이상 가입자 점유율 62.1%를 차지하고 있다.

▲대리점 연말 분위기 썰렁=일선 대리점들은 예년같으면 연말 특수다 뭐다해서 북적거릴텐데, 지금은 썰렁한 분위기다. 판매량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최근 어느 때보다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다.
이통사의 단말기 보조금 혜택을 기대하며 ‘일단 지켜보자’는 소비자들 크게 늘었다.
대리점들은 연말이라 자금 압박이 심해서 재고털이를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30만원짜리 전략 단말기를 7만~8만원으로 할인 판매”하는 등 ‘밀어내기식 판매’라는 어쩔수 없는 선택을 강요받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싼 휴대폰을 구입할수 있는 적기라고 볼수 있다.
보조금 기대로 시장이 지난 11월보다 15% 줄어들자 이통사들은 12월 대리점에 30만원 이상의 리베이트를 지급하는 등 우회적으로 보조금 마케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통사 보조금 지급 규모는=이통3사가 추가로 부담해야 할 마케팅 비용은 얼마나 될까. 일각에서는 향후 2년동안 3조원 정도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재의 마케팅 비용은 매출액의 16~18% 수준. 시장에서 뿌려지는 보조금 수준은 15만원 정도다. 이를 넘겨 지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무조건적인 마케팅 비용 확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모 이통사 관계자는 “정부안이 통과되면 마치 2년 이상 가입자에게 보조금을 의무적으로 줘야 하는 것 처럼 알려지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지급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제기되고 있다. SK텔레콤의 발신자번호표시(CID) 요금이 시민단체와 정치권의 요구로 무료화됐듯 보조금도 “더 달라”는 가입자들의 요구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시장이 포화됐다고 하지만 한 사업자가 보조금 경쟁을 시작할 경우 ‘나 몰라라’ 피해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단말기 제조업체 특수 기대=삼성전자, LG전자, 팬택계열 등 업계의 ‘빅3’는 출하 물량을 늘려잡고 신규 단말기 개발에 전력중이다. 휴대전화 내수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서비스 등 각종 신규서비스의 활성화로 중·고가 휴대전화의 판매 비중이 올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국내에서 700만대이상, LG전자는 300만대 이상, 팬택계열은 400만대 이상을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통신위의 시장감시 강화=일부 합법적인 조치에도 불법행위는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해지 방어나 신규가입자 유치를 위해서는 보조금만한 게 없기 때문이다. 통신위는 사업자간 단말기 보조금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상대업체를 고발하는 신고도 폭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통신위는 내년 이통시장 안정에 대처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신설키로 하는 등 새로운 조직을 꾸려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이통사들의 불법 보조금으로 인한 과징금 규모는 매년 100억원 이상씩 늘고 있다. 신규서비스의 확대 등이 겹치면서 약관 위반행위로 인한 과징금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고객을 한명이라도 더 유치하려는 이통사, 조직강화를 통해 시장을 철저히 단속하겠다는 통신위. ‘보조금 숨바꼭질’치열하게 펼쳐질 전망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