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에 환경호르몬 적신호가 울렸다.
환경부가 전국 최초로 환경호르몬 잔류실태를 조사, 발표한 결과 인간 생식기능을 저하시키고 면역성을 떨어뜨리게 하는 환경호르몬이 광주·전남지역을 포함, 전국각지에서 광범위 하게 검출된 것.
특히 이번 조사결과 환경호르몬이 그동안 알려진 것과는 달리 수질과 저질(하천·호소의 바닥물질), 대기, 토양은 물론 어류와 양서류에도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것으로 확인돼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지는 환경호르몬 청정지대로 알려져온 광주·전남지역의 환경호르몬 오염상황과 문제점, 대책 등을 중심으로 긴급 실태점검에 나섰다./편집자주
<환경호르몬 실태>
① 암수 뒤바뀜 현상 진행
전국 31곳서 채집한 물고기·개구리 124개 시료에서 환경호르몬으로 추정된 45개 물질이 검출됐다. 광주천 등에서 채집한 물고기 4마리와 개구리 한마리에선 성(性)관련 조직에서 이상증후까지 관찰됐다.
특히 광주천의 경우 직접적 상관관계는 규명되지 않았으나 채집된 암컷붕어의 생식조직에 정소로 보이는 조직이 형성돼 있는 등 성(性)돌연변이 증후가 강하게 드러났다.
섬진강수계에서 채취한 암컷 황소개구리의 난소에서도 정소로 변환중인 조직이 관찰됐다.
② 대기오염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의 경우 24개 측정지점 가운데 무려 23곳에서 검출됐다.
전반적으로 일본에 비해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을 보이긴 했으나 장기적으로는 안심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광주천에서는 다이옥신이 0.005pg-TEQ/ℓ(1pg-TEQ/ℓ=1ℓ당 독성 등가치 1조분의 1g), 살균제 성분인 베노밀이 0.1157㎍/ℓ, 벤조페논이 0.0281㎍/ℓ, 생식독성 기능물질이자 플라스틱 원료성분인 비스페놀A가 0.0427㎍/ℓ 각각 검출됐다.
여천산단의 대기에서도 다이옥신이 0.040pg-TEQ/N㎥(1N㎥는 10억분의 1㎥)검출돼 일본 평균치 범위내에 들어갔으며 광주지역도 남구 백운동이 0.052pg-TEQ/N㎥, 광산구 송정동이 0.103pg-TEQ/N㎥ 검출됐다.
③물·토양 오염
하천의 경우 다이옥신·비스페놀A 등의 물질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됐으나 당장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TBT는 낙동강 수계 낙동대교 지점의 하천 퇴적토에서 유일하게 ㎏당 5.96㎍(1㎍=100만분의 1g)이 검출됐다.

<원인과 문제점>
문제는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어느 정도 피해를 주는지, 또 어떠한 물질이 환경호르몬에 속하는지조차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환경호르몬에 대한 규제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아예 개념자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늘 사용하는 각종 용기에서 이같은 환경호르몬이 다량으로 검출되고 있다는 데 있다.
플라스틱 젖병과 장난감, 치아발육기 등 대부분의 유아용품에 다량 검출되고 있단 사실은 예삿일이 아니다.
피해가 특정한 곳에 한정되지 않고 전국 각지에서 무차별적 발생하는 것도 간과해선 안될 사항 중 하나다.
또한 이번 환경부 조사에서 제외된 식품에 대한 실태조사도 시급히 이뤄져야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환경단체 관계자들은 “환경호르몬이 이미 환경·생태계뿐 아니라 각종 식품에도 만연해 있어 식탁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며 “정부가 부처이기주의를 내세우기보다 환경호르몬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책>
일본은 OECD국가 중 처음으로 98년 환경호르몬 연구사업을 실시, 지난해 ‘다이옥신류 대책특별조치법’을 제정했다. 미국도 지난 96년부터 환경호르몬의 위해성을 본격 제기하면서 전국 규모의 환경호르몬 잔류실태를 활발히 펼치고 있다.
환경부도 이번 조사를 토대로 앞으로 환경호르몬에 대한 조사 및 연구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환경호르몬 가운데 다이옥신 등 특정 유해물질에 대한 통합관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다이옥신 등 특정유해물질관리특별법’을 제정할 방침이다.
민관연구기관들의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도 뒤따라야할 것으로 보인다.
또 정기적으로 검사결과를 발표, 환경호르몬 검출 제품은 소비자가 스스로 배척해 나갈수 있도록 하는 일도 소홀히 해선 안될 것이다.
또한 식품에 대한 조사와 환경호르몬에 대한 지표공개 등도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농림부, 환경부 등이 손잡고 하루빨리 추진해 나가야할 과제중 하나다.
국가차원의 식품안전체제 구축, 기초연구 및 전문기술의 투자확충, 법·제도적 관리시스템 마련 등이 필요한 시점이다./송창헌 기자 chang@kjtimes.co.kr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