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광주YMCA 강당에서 열린 ‘광주전남발전연구원장 선임과 개혁을 위한 공청회’에서 토론자들은 연구원 이사로 혹은 전직 연구원으로, 시민단체 대표 자격으로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다음은 공청회에 참석한 토론자들의 주요 발언 내용.
△박경중 전남도의회 행정자치위원장=광주전남발전연구원 당연직 이사로서 그동안 이사회 한번 참석하지 못한 것에 대해 먼저 죄송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
연구원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연구원장 선임건이다. 여기에다 연구원들의 연구실적과 함께 간과되지 말아야 할 것이 발전연구원의 관리부분 책임이다.
연구원장의 연봉이 1억원에 달하는 것은 재고해야할 부분이다. 연구원장 연봉으로 능력있는 우수연구원 몇명은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특히 연구원장 자리가 시·도지사 등의 퇴임후 ‘자리’로 전락했다는 시민단체들의 지적에 전적으로 동감하며 이번 기회에 차라리 무보수 명예직으로 하면 어떨까 하는 제안을 하고 싶다.
△김재석 광주경실련 사무처장=연구원 개혁을 위한 시·도민 대책회의 입장은 우선 무조건적인 ‘행정관료 출신 원장 배제’는 아니다. 기금출연기관인 광주시나 전남도에 대한 독립성 유지와 연구원 경영에 대한 마인드만 충분하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
지금까지 연구원장의 선임과정은 밀실행정의 표본이었다. 장관급 이상의 연봉이 보장되는 자리의 책임자를 선임하는데 시도민들의 뜻과는 관계없이 진행됐다는 점과 연구원장 자리를 놓고 광주시장과 전남도지사가 벌이는 행태는 개선돼야 한다.
여기에다 지난 97년 10월 연구원장 선임 지체로 인한 공백상태에 대해 당시 시의 고위공직자가 ‘시민단체의 의견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는 약속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진 것에 대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
특히 97년 당시 광주시장인 송언종씨의 원죄는 개혁의 대상이기 때문에 연구원장 내정은 있을수 없는 일이다.
연구원의 개혁과 관련 지금과 같은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모두가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하나 송언종 광주전남발전연구원장 내정자가 스스로 사퇴하는 길 뿐이다.
△김영일 농학박사=개인적으로 지난 94년 12월 연구원으로 임용돼 2000년 5월까지 재직했다. 지난 5년여 기간동안 논문중심의 활동보다는 ‘실사구시’정신으로 일해왔던게 사실이다.
이 기간동안 연구원들의 평가는 연구내용이 언론에 어떻게 보도되느냐에 따라 결정됐다.
창의적인 발상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연구를 꿈꿨지만 실질적으로 재충전 시간의 부족과 산적한 용역 과제들에 의한 구조적인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여기에다 기금출연기관이라는 이유로 시·도의 외압이 있어 독립적인 연구기관의 풍토 마련이 어려웠다.
광주전남발전연구원은 시·도민을 위한 연구기관으로 거듭나야 하며 연구원장 또한 시·도의 압력에 맞설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
한편, 현재 연구원의 재정구조상 용역과제를 상당부분 맡을 수 밖에 없는데 이의 시정을 통해 자립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본다.
/우성진 기자 usc@kjtimes.co.k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