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감사결과, 매장문화재 누락 면적 42만9천473㎡

보존대책 외면·지표조사 미실시 마구잡이 공사 재확인

지난 이명박 정부 최대 공약사업인 4대강 사업으로 인해 영산강 주요 문화재 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일부 구간은 유물지에 대한 보존 대책을 외면하는 한편, 일부는 아예 시굴 또는 지표조사도 무시한 것으로 밝혀져 적잖은 파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감사원은 국회의 감사 요구에 따라 4대강 살리기 사업 구간에서의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위반 여부에 대해 감사를 벌여 최근 그 결과를 발표했다.

감사 내용을 살펴보면 매장문화재 확인절차와 전문가 입회조사까지 누락된 채 공사가 강행된 영산강유역 사업구간은 전체 5개소 23곳에 면적은 42만9천473㎡(12만9천915평)으로 나타났다.
 

나주 송월동 고선박 매장지 하도정비사업은 문화재청이 입회조사 후 보전대책을 통보했으나 유물지 대부분을 준설한 뒤인 2010년 12월에야 입회하는 등 형식적으로 추진됐다.
이 고선박은 2009년 3월 발견됐으며, 고려시대 초기 건조돼 곡물이나 물건 등을 실어나르는 조운선(漕運船)인 초마선으로 추정돼 영산강이 무역교류의 중심임이 확인됐다.

문화재 보존대책을 이행하지 않고 마구잡이 공사를 한 곳도 드러났다.
광주 유계동 유물 산포지는 하도정비(흙깎기) 4만3천400여㎡ 중 절반인 2만2천여㎡만 시굴조사를 했으며 광주 본촌동 유물지도 2만여㎡ 중 4천500㎡만 조사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굴착했다.

함평 화양리 유물지는 표본 시굴조사도 하기 전에 제방 보강공사를 하면서 지층을 훼손, 2천여㎡는 시굴조사조차 못했다.

또 매장 문화재 분포지에 대해 협의 내용과 다른 공사를 하기도 했다.
광주 신양촌 유물산포지(17만5천여㎡)는 시굴조사를 거쳐 존치하도록 협의가 됐으나 생태습지(890㎡)가 조성됐다.
광주 덕흥동 유물산포지(2만6천여㎡)도 존치가 결정됐으나 지면 굴착 후 폭 20m의 실개천을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영산강 사업 구간은 둑에서 600m 떨어진 주변지역을 포함해 매장문화재 분포지와 지정 및 비지정문화재가 모두 181곳에 달했다.

하지만 매장문화재 발굴(시굴)조사에 들어간 34곳 중 조선시대 도기가마 발굴 등을 한 곳도 7곳에 불과했다.
또 영산강 준설토를 활용, 농지 리모델링 사업을 한 한국농어촌공사도 고동지구도 사업부지가 8만5천여㎡가 늘었으나 지표조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영민 기자 kym711@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