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전야 (4) 신립, 조총을 우습게 알다

임진왜란 전야 (4) 신립, 조총을 우습게 알다

<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1. 1590년 2월 28일에 선조는 창덕궁 인정전에서 헌부례(포로를 바치는 의식)를 거행했다. 진도 사람 사을화동(沙乙火同)이 왜구의 향도(嚮導) 노릇을 해왔는데 일본 사신 소 요시토시가 조선의 요구에 의해 잡아왔다.

일본 사신은 선조에게 통신사 파견을 요청하면서 공작새 한 쌍과 조총(鳥銃)을 바쳤다. 그런데 최첨단 무기 조총에 대하여 선조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군기시에 보관토록 지시했다.

#2. 1543년에 일본의 규슈 근처의 종자도에 도착한 포르투갈 상인이 종자도 영주에게 조총을 바쳤다. 이 신무기는 일본각지로 퍼져 기존의 전투양상을 바꾸기 시작했다.

조총의 위력을 실감했던 오다 노부나가는 조총수 양성에 진력했다. 그는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조총으로 최강의 기마군단 다케다 가쓰요리 군을 이겼다.

오다 노부나가는 3교대 연속 사격 전술을 썼다. 조총의 장전 시간이 꽤 걸리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조총수를 3열로 배치시켜 맨 앞줄이 쏘고 앉으면 가운데 줄이 쏘고, 가운데 줄이 쏘고 앉으면 맨 마지막 줄이 쏘고, 다시 장전을 마친 맨 앞줄이 일어나 사격하여 기마군을 이긴 것이다.

그런데 노부나가는 1582년에 부하 아케치 미쓰히데의 반역으로 자살했다. 노부나가의 심복 도요토미 히데요시(1536~1598)는 당시에 원정 중이었는데 노부나가가 살해됐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회군하여 교토의 야마자키 전투에서 미쓰히데를 토벌했다. 그는 1585년에는 관백이 되고 1590년 오다와라 정벌로 100년의 전국시대를 종식시키고 일본을 통일했다.

#3. 1592년 2월에 선조는 대장 신립과 이일을 파견하여 각 도의 병기를 점검토록 했다. 이일은 전라도와 충청도로, 신립은 경기도와 황해도로 갔다가 한 달 뒤에 돌아왔는데, 그 점검이라는 것이 활·화살·창과 칼뿐이고 대포나 화약은 없었다. 그나마 문서에만 있었을 뿐이었다.

신립은 1583년 온성부사일 때 여진족을 무찔러 명성이 높았는데, 잔인하고 난폭하다는 평판이 자자했다. 그는 가는 곳마다 사람을 죽여 자기의 위엄을 세웠다. 수령들은 신립을 두려워 해 백성들을 동원해 길을 닦았으며 극진히 접대했다. 대신의 행차도 이만 못했다.

#4. 1592년 4월 1일 신립은 임금께 복명한 뒤 집으로 류성룡를 찾았다.

<징비록>의 관련 부분을 읽어 보자.

“멀지 않아 변고가 생기면 공이 마땅히 그 일을 맡아야 할 텐데 공의 생각으로는 오늘날 적의 형세로 보아 그 방비가 충분하나요?”

내 물음에 신립은 간단하게 대답했다. “그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내가 말했다. “그렇지 않소. 예전에는 왜적이 창·칼만 믿고 있었지만, 지금은 조총과 같은 우수한 병기가 있으니 가볍게 생각할 일이 아니요” 신립은 황급히 “비록 조총이 있다고는 하나 그 조총이라는 게 쏠 때마다 사람을 맞힐 수 있겠습니까?”

내가 다시 말했다. “태평세월이 너무 길었소. 그래서 병사들은 겁이 많고 나약해졌으니 급변이 일어날 때 그에 항거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외다. 내 생각으로는 몇 해 뒤 사람들이 군사 일에 익숙해진다면 난리를 수습할 수 있겠으나 지금 같아서는 매우 걱정스럽소.”

그래도 신립은 전혀 반성하거나 깨달은 기미 없이 돌아갔다. (김문수 엮음, 류성룡 지음, 징비록, p 48-49)

문신 류성룡이 왜침을 걱정하는 데 장수 신립은 걱정할 것 없다고 하다니. 임진왜란 발발 13일 전의 일이었다.

#5. 1592년 4월 28일 신립이 충주 탄금대에서 패하여 전사했다. 험준한 요새 조령을 지키지 않고, 기마병이 싸울 수 있는 탄금대에 배수진을 쳤다. 기마병이 조총으로 단련된 왜군을 이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오만한 신립은 왜적을 너무 몰랐다.

4월 28일 저녁에 선조는 신립의 패전 소식을 접했다. 4월 30일 새벽에 선조는 도성을 버리고 북으로 도망쳤다.

#6. 지금까지 4회에 걸쳐 임진왜란 전야를 살펴보았다. 임진왜란은 대비할 수 있는 전쟁이었다. 그러나 집권당 동인과 김성일의 잘못된 정세 판단, 일본에 대한 무지, 그리고 장수들의 오만이 조선을 7년간 아비규환으로 만들었다. 한마디로 무비유환(無備有患)이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